분류 전체보기 174

7.2.4 배열의 맨 앞에서 값 꺼내기 - shift()

📘 7.2.4 배열의 맨 앞에서 값 꺼내기 - shift()push, pop, unshift와 함께한 시간들이 차례로 이어져 왔습니다. 이제 우리는 마지막 하나의 이야기를 더 나누어야 할 것 같습니다. 배열의 맨 앞에서 값을 조용히 꺼내오는 shift라는 기능에 대해서 말이지요.unshift가 배열의 앞에 새로운 값을 넣어주는 일을 한다면, shift는 그와는 정반대로 배열의 맨 앞에 있는 값을 꺼내어 주는 일을 합니다. 마치 줄을 서 있는 사람들 중에서 맨 앞의 사람이 자연스럽게 한 걸음 앞으로 나가는 것처럼요.shift라는 이름 안에는 "이동한다"는 뜻이 담겨있습니다. 맨 앞의 값이 사라지면서 나머지 값들이 모두 앞으로 한 자리씩 이동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이 기능을 이해하면 우리..

7.2.3 앞에 추가하기 (unshift) - 맨 앞에 새로운 값 넣기

📘 7.2.3 앞에 추가하기 (unshift) - 맨 앞에 새로운 값 넣기push와 pop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던 지난 시간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그때 우리는 배열의 뒤에서 값을 넣고 빼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그와는 반대편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배열의 맨 앞에 새로운 값을 넣어주는 unshift라는 기능에 대해서 말이지요.생각해보면 참 흥미로운 일입니다. 줄을 서 있는 사람들 앞에 누군가 새로 들어오는 모습을 말이에요. 모든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한 자리씩 뒤로 물러나면서 새로운 사람에게 맨 앞자리를 내어주는 것처럼, unshift도 그런 방식으로 작동합니다.unshift라는 이름은 처음 들으면 조금 낯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안에는 "shift"라는 단어가 들어있지요. 이동한다는 뜻입..

7.2.2 뒤에서 빼기 (pop) - 마지막 것을 쏙 꺼내는 방법

📘 7.2.2 뒤에서 빼기 (pop) - 마지막 것을 쏙 꺼내는 방법지난 시간 우리는 push라는 기능을 통해 배열에 새로운 것들을 더해가는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그 경험이 아직도 마음에 남아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그와는 정반대의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배열에서 무언가를 조용히 꺼내오는 이야기를 말이지요.pop이라는 기능은 참으로 솔직한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어로 '펑' 하고 터뜨린다는 뜻이지요. 하지만 우리가 사용할 때는 거칠게 터뜨리는 것이 아니라, 배열의 맨 마지막에 있는 값을 조심스럽게 꺼내오는 것입니다.생각해보세요. 책상 위에 쌓인 책들 중에서 하나를 가져가야 할 때, 우리는 자연스럽게 맨 위에 있는 책부터 가져가지 않나요? pop도 정확히 그런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배열에서 가..

7.2.1 뒤에 추가하기 (push) - 자동 확장 목록 만들기

📘 7.2.1 뒤에 추가하기 (push) - 자동 확장 목록 만들기여러분과 함께 이 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배열이라는 상자를 만들어보고, 그 안에 들어있는 것들을 하나씩 꺼내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제 우리는 조금 다른 이야기를 써보려 합니다. 배열에 새로운 것들을 넣어주는 이야기를 말이지요.생각해보세요. 학교에서 돌아와 책상에 앉아 일기를 쓰는 여러분의 모습을. 처음에는 빈 종이였지만, 하루의 이야기들이 하나씩 줄을 채워나가면서 온전한 하루가 됩니다. 그렇게 우리의 배열도 처음엔 작았지만, 필요한 것들이 하나씩 더해져 가면서 의미 있는 목록이 되어갑니다.push라는 기능은 참 정직한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어로는 '밀어넣다'라는 뜻이지요. 마치 서랍 안에 물건을 정리할 때, 빈 공..

7.1.3 인덱스로 꺼내기 - 정확한 자리에서 정보 찾기

📘 7.1.3 인덱스로 꺼내기 - 정확한 자리에서 정보 찾기안녕하세요, 여러분. 이제 배열을 만들고 정보를 넣는 방법을 배웠으니, 이번에는 배열에서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꺼내는 기술을 익혀볼 차례입니다. 마치 도서관에서 도서 번호를 보고 원하는 책을 조용히 찾아내거나, 아파트에서 호수 번호를 보고 친구 집을 자연스럽게 찾아가는 것처럼, 배열에서도 인덱스를 사용해서 원하는 자리의 정보를 정성스럽게 꺼낼 수 있습니다.인덱스는 배열의 각 자리를 구분하는 특별한 주소와 같습니다. 이 주소를 잘 활용하면 배열의 어떤 자리든 자유자재로 접근할 수 있고, 나중에 배울 반복문과 함께 사용하면 배열의 모든 정보를 차례차례 처리하는 아름다운 일도 할 수 있어요. 오늘은 이런 인덱스의 활용법을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7.1.2 배열 만들고 사용하기 - 나만의 정리함 완성하기

📘 7.1.2 배열 만들고 사용하기 - 나만의 정리함 완성하기안녕하세요, 여러분. 지난 시간에 배열이라는 아름다운 정리함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면, 이번에는 본격적으로 정리함을 만들고 자연스럽게 다루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마치 도자기를 빚는 장인이 흙으로 그릇을 만들어가듯이, 정리함도 처음엔 빈 상태로 시작해서 하나씩 물건을 채워나가거나, 필요할 때마다 물건을 바꿔가며 우리가 원하는 모습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오늘은 정리함을 만드는 여러 가지 방법부터 시작해서, 정리함 안의 물건들을 섬세하게 바꾸고, 정리함의 정보를 지혜롭게 활용하는 방법들을 차근차근 배워보겠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여러분은 정보를 더욱 능숙하게 다루는 진정한 프로그래머가 될 것입니다.🧠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정리함을 자유자재로 ..

7.1.1 배열이 뭐예요? - 여러 개의 물건을 담는 똑똑한 상자

📘 7.1.1 배열이 뭐예요? - 여러 개의 물건을 담는 똑똑한 상자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정말 아름다운 새로운 도구를 함께 배워보겠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변수 하나에 정보 하나씩만 담아왔는데요, 이제는 하나의 특별한 상자에 여러 개의 정보를 정성스럽게 넣을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바로 '배열'이라는 놀라운 도구입니다.혹시 여러분의 방에 작은 서랍장이 있으신가요? 아니면 연필꽂이에 색연필들을 정성스럽게 꽂아두신 적이 있으신가요? 배열도 이와 비슷합니다. 여러 개의 정보들을 차례차례 정리해서 보관하는 자연스러운 방법이에요. 마치 투명한 보석함에 여러 가지 보석을 순서대로 넣어둔 것처럼 말입니다.🧠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배열을 배우는 데 필요한 중요한 단어들을 우리가 아는 친근한 말로 ..

6.3.2 함수 팩토리 만들기 - 똑똑한 함수 제조공장 세우기

📘 6.3.2 함수 팩토리 만들기 - 똑똑한 함수 제조공장 세우기안녕하세요, 여러분. 지난 시간에 클로저로 중요한 데이터를 소중히 보호하는 방법을 함께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한 단계 더 나아가서 함수 팩토리라는 아름다운 개념을 탐구해보겠습니다. 혹시 도자기 공방에 가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한 명의 장인이 같은 물레와 같은 기법으로도 찻잔, 화분, 접시 등 전혀 다른 작품들을 만들어내는 모습을 보면 경이로움을 느끼게 되죠. 함수 팩토리도 이와 비슷합니다. 하나의 틀로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함수들을 정성스럽게 만들어낼 수 있는 놀라운 도구입니다.실제 세상에서도 공장은 같은 기계로 여러 종류의 제품을 만들어내곤 합니다. 자동차 공장에서는 같은 생산 라인으로 빨간 차, 파른 차, 검은 차를 만들고..

6.3.1 클로저로 중요한 정보 지키기 - 우리만의 비밀 금고 만들기

📘 6.3.1 클로저로 중요한 정보 지키기 - 우리만의 비밀 금고 만들기여러분은 혹시 어린 시절, 소중한 일기장을 어디에 숨겨두셨나요? 혹은 용돈을 어느 안전한 곳에 보관해두셨던 기억이 있으신가요? 아마도 가족들도 찾기 어려운, 나만 아는 특별한 장소에 감춰두셨을 거예요.자바스크립트에도 이렇게 소중한 정보를 감춰두는 방법이 있습니다. 클로저라는 이름의 이 기법은, 마치 우리가 개인적인 물건을 서랍 깊숙이 넣어두듯이, 프로그램의 중요한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오늘은 이런 보호막을 어떻게 만드는지, 함께 차근차근 배워보겠습니다.🧠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우선 이번 시간에 만날 단어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마치 새로운 친구를 만나기 전에 그 친구에 대해 미리 알아보는 것처럼요.단어부드러운 ..

6.2.2 클로저는 언제 만들어질까요? - 특별한 조건들을 알아보기

📘 6.2.2 클로저는 언제 만들어질까요? - 특별한 조건들을 알아보기지난 시간에 우리는 클로저라는 놀라운 개념을 만났습니다. 함수가 마치 개인 서랍장처럼 자신의 환경을 기억하는 신기한 능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오늘은 한 걸음 더 나아가서 "그렇다면 이런 능력은 언제 생기는 걸까요?"라는 자연스러운 궁금증을 풀어보겠습니다. 바로 클로저가 만들어지는 특별한 조건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함께 이 흥미로운 탐험을 떠나보겠습니다.🧠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클로저가 언제 만들어지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단어들을 알아보겠습니다.단어의미클로저 만들어지는 조건클로저가 만들어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상황들을 의미합니다. 마치 무지개가 나타나기 위한 조건 같습니다.안쪽 함수 (inner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