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1.3 인덱스로 꺼내기 - 정확한 자리에서 정보 찾기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제 배열을 만들고 정보를 넣는 방법을 배웠으니, 이번에는 배열에서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꺼내는 기술을 익혀볼 차례입니다. 마치 도서관에서 도서 번호를 보고 원하는 책을 조용히 찾아내거나, 아파트에서 호수 번호를 보고 친구 집을 자연스럽게 찾아가는 것처럼, 배열에서도 인덱스를 사용해서 원하는 자리의 정보를 정성스럽게 꺼낼 수 있습니다.
인덱스는 배열의 각 자리를 구분하는 특별한 주소와 같습니다. 이 주소를 잘 활용하면 배열의 어떤 자리든 자유자재로 접근할 수 있고, 나중에 배울 반복문과 함께 사용하면 배열의 모든 정보를 차례차례 처리하는 아름다운 일도 할 수 있어요. 오늘은 이런 인덱스의 활용법을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
인덱스를 자유자재로 다루기 위해 알아야 할 중요한 단어들을 우리가 아는 친근한 말로 바꿔서 살펴보겠습니다.
단어 | 부드러운 설명 |
---|---|
인덱스 | 배열에서 각 정보가 있는 자리를 나타내는 번호입니다. (0번부터 시작해요!) |
인덱스 접근 | 인덱스를 사용해서 배열의 특정 정보를 조심스럽게 가져오는 것입니다. |
범위 확인 | 인덱스가 배열 범위 안에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안전한 코딩을 위해 중요해요. |
순회 | 배열의 모든 정보를 하나씩 차례로 확인하는 것입니다. 마치 정원을 천천히 거니는 것처럼요. |
✨ 인덱스 접근의 핵심 개념
인덱스를 사용한 배열 접근은 우리 일상생활의 주소 시스템과 완전히 같은 개념입니다.
집 주소가 있으면 전국 어디든 정확히 찾아갈 수 있는 것처럼, 인덱스가 있으면 배열의 어떤 자리든 바로 접근할 수 있어요. 중요한 건 프로그래밍 세계에서는 순서를 0번부터 센다는 점입니다. 이는 처음에는 조금 낯설 수 있지만, 곧 자연스러워질 거예요.
인덱스의 또 다른 아름다운 점은 계산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첫 번째", "마지막", "중간" 같은 상대적인 자리도 수학으로 계산해서 정확한 인덱스로 바꿀 수 있어요. 이런 능력 덕분에 배열의 크기가 바뀌어도 항상 올바른 자리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인덱스는 반복문과 만나면 놀라운 힘을 발휘해요. 하나씩 손으로 꺼내던 일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수백 개, 수천 개의 정보도 쉽게 다룰 수 있게 되죠.
조용한 이야기: 작은 서점의 지혜
인덱스의 작동 원리를 작은 서점의 지혜에 비유해보겠습니다.
어느 조용한 동네에 작은 서점이 있었습니다. 서점 주인 할아버지는 평생에 걸쳐 모은 수많은 책들을 일렬로 정성스럽게 배치해두셨어요. 각 책에는 0번, 1번, 2번...이라는 작은 번호표가 붙어있었습니다.
이 서점의 특별한 점은 손님의 요청에 따라 정확한 책을 찾아주는 시스템이었어요. "3번 책을 보여주세요"라고 말하면 할아버지가 정확히 3번 자리의 책을 조심스럽게 꺼내어 보여주셨어요. 만약 "50번 책도 보고 싶어요"라고 했는데 서점에 30권의 책밖에 없다면, 할아버지는 부드럽게 "그런 번호의 책은 없답니다"라고 말씀해주셨죠.
더 놀라운 건 계산된 요청도 가능하다는 점이었어요. "마지막 책을 보여주세요"라고 하면 할아버지가 자동으로 가장 마지막 번호를 계산해서 그 책을 가져다주셨고, "모든 책을 차례로 보여주세요"라고 하면 첫 번째부터 마지막까지 모든 책을 하나씩 정성스럽게 보여주셨습니다.
배열의 인덱스 시스템도 이와 같습니다. 우리가 원하는 자리의 번호를 말하면, 컴퓨터가 정확히 그 자리의 정보를 가져다주는 것입니다.
🎯 인덱스 접근을 배우는 이유
그렇다면 왜 인덱스 접근 방법을 정확히 알아야 할까요?
실제 프로그램에서는 특정 조건에 맞는 정보만 골라서 처리하는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예를 들어,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선택한 무기만 강화하거나, 쇼핑몰에서 선택한 상품만 장바구니에 추가하는 것처럼요. 이때 정확한 인덱스 접근 능력이 꼭 필요합니다.
또한 많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려면 반복문과 인덱스를 조합하는 기술이 꼭 필요합니다. 수천 명의 학생 점수를 처리하거나, 수만 개의 상품 정보를 분석할 때, 하나씩 손으로 처리할 수는 없으니까요.
마지막으로 안전한 코딩을 위해서도 인덱스 범위 검사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존재하지 않는 자리에 접근하려다가 프로그램이 오류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거든요.
⚙️ 기본 사용법 살펴보기
인덱스를 사용한 배열 접근의 기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인덱스 접근:
let 정보 = 배열이름[인덱스번호];
다양한 인덱스 사용 방법:
// 직접 숫자 사용
let firstItem = fruits[0]; // 첫 번째 정보
// 변수 사용
let index = 2;
let thirdItem = fruits[index]; // 세 번째 정보
// 계산 사용
let lastItem = fruits[fruits.length - 1]; // 마지막 정보
// 조건부 접근
if(index < fruits.length) {
let safeItem = fruits[index]; // 안전한 접근
}
🧪 직접 해보면서 배우기
이제 실제 예제를 통해 다양한 인덱스 접근 방법을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 예제 1: 요일 배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 꺼내기
첫 번째 예제에서는 인덱스를 사용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하나씩 체험해보겠습니다. 일주일 요일을 배열로 만들어서 다양한 접근 방식을 연습해보겠습니다.
// 일주일 요일을 배열로 정성스럽게 만들기
let weekdays = ["월", "화", "수", "목", "금", "토", "일"];
// 전체 요일을 확인하기
console.log("일주일 요일들:");
console.log(weekdays);
console.log("총 " + weekdays.length + "일");
// 방법 1: 직접 숫자로 접근하기
console.log("\n직접 번호로 접근:");
console.log("첫 번째 요일: " + weekdays[0]); // 0번 자리에서 월요일을 조심스럽게 꺼내요
console.log("세 번째 요일: " + weekdays[2]); // 2번 자리에서 수요일을 조심스럽게 꺼내요
console.log("다섯 번째 요일: " + weekdays[4]); // 4번 자리에서 금요일을 조심스럽게 꺼내요
// 방법 2: 변수를 인덱스로 사용하기
console.log("\n변수로 접근:");
let today = 1; // 오늘을 1번(화요일)로 설정해요
console.log("오늘은 " + weekdays[today] + "요일입니다");
let tomorrow = today + 1; // 내일을 자연스럽게 계산해요
console.log("내일은 " + weekdays[tomorrow] + "요일입니다");
// 방법 3: 계산으로 특별한 위치 찾기
console.log("\n계산으로 접근:");
let lastDay = weekdays.length - 1; // 마지막 자리 번호를 계산해요
console.log("마지막 요일: " + weekdays[lastDay]);
let middleDay = 3; // 중간 자리를 정성스럽게 지정해요 (7개 중 4번째)
console.log("중간 요일: " + weekdays[middleDay]);
이 예제를 통해 인덱스 접근의 다양한 방법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직접 숫자를 사용하는 것부터 변수와 계산을 활용하는 방법까지, 각각의 장단점과 사용 상황을 이해할 수 있어요.
🔹 예제 2: 안전한 배열 접근 시스템 만들기
두 번째 예제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인덱스에 접근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안전한 시스템을 만들어보겠습니다.
// 과일 목록 배열을 만들기
let fruits = ["사과", "바나나", "오렌지"];
// 배열 정보를 확인
console.log("과일 목록:");
console.log(fruits);
console.log("과일 종류: " + fruits.length + "가지");
console.log("유효한 인덱스: 0부터 " + (fruits.length - 1) + "까지");
// 안전한 접근 함수를 만들기
function safeFruitGet(fruitArray, position) {
// 인덱스가 유효한 범위인지 검사하기
if(position >= 0 && position < fruitArray.length) {
return fruitArray[position]; // 안전한 경우 정보를 반환해요
} else {
return "존재하지 않는 위치입니다"; // 위험한 경우 정중한 경고 메시지를 반환해요
}
}
// 다양한 인덱스로 테스트해보기
console.log("\n안전한 접근 테스트:");
console.log("0번 위치: " + safeFruitGet(fruits, 0));
console.log("1번 위치: " + safeFruitGet(fruits, 1));
console.log("2번 위치: " + safeFruitGet(fruits, 2));
console.log("3번 위치: " + safeFruitGet(fruits, 3)); // 없는 자리
console.log("10번 위치: " + safeFruitGet(fruits, 10)); // 없는 자리
console.log("-1번 위치: " + safeFruitGet(fruits, -1)); // 없는 자리
// 일반 접근과 비교해보기
console.log("\n일반 접근 결과:");
console.log("3번 위치: " + fruits[3]); // undefined
console.log("10번 위치: " + fruits[10]); // undefined
이 예제는 프로그래밍에서 정말 중요한 안전한 코딩 개념을 보여줍니다. 항상 예상치 못한 상황을 고려해서 안전한 코드를 작성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해요.
🔹 예제 3: 반복문으로 배열 전체 처리하기
세 번째 예제에서는 인덱스와 반복문을 조합해서 배열의 모든 정보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 수학 시험 점수 배열을 만들기
let mathScores = [85, 92, 78, 96, 88, 74, 91];
// 전체 점수 현황을 출력
console.log("우리 반 수학 시험 점수:");
console.log(mathScores);
console.log("시험 본 학생 수: " + mathScores.length + "명");
// 방법 1: 모든 점수를 순서대로 출력하기
console.log("\n전체 점수 발표:");
for(let i = 0; i < mathScores.length; i++) {
let studentNumber = i + 1; // 학생 번호는 1번부터 시작
console.log(studentNumber + "번 학생: " + mathScores[i] + "점");
}
// 방법 2: 조건에 맞는 점수만 찾기
console.log("\n90점 이상 우수한 학생들:");
let excellentCount = 0;
for(let i = 0; i < mathScores.length; i++) {
if(mathScores[i] >= 90) { // 90점 이상인지 확인해요
excellentCount = excellentCount + 1;
console.log((i + 1) + "번 학생: " + mathScores[i] + "점 (우수!)");
}
}
console.log("90점 이상 학생 수: " + excellentCount + "명");
// 방법 3: 최고 점수와 최저 점수를 찾기
let highestScore = mathScores[0]; // 첫 번째 점수를 최고 점수로 시작
let lowestScore = mathScores[0]; // 첫 번째 점수를 최저 점수로 시작
let highestStudent = 1;
let lowestStudent = 1;
for(let i = 1; i < mathScores.length; i++) { // 두 번째 학생부터 확인
if(mathScores[i] > highestScore) {
highestScore = mathScores[i];
highestStudent = i + 1;
}
if(mathScores[i] < lowestScore) {
lowestScore = mathScores[i];
lowestStudent = i + 1;
}
}
console.log("\n최고 점수: " + highestScore + "점 (" + highestStudent + "번 학생)");
console.log("최저 점수: " + lowestScore + "점 (" + lowestStudent + "번 학생)");
이 예제는 실제 데이터 분석에서 자주 사용되는 패턴들을 보여줍니다. 전체 순회, 조건부 필터링, 최대/최소값 찾기 등은 프로그래밍에서 기본이 되는 중요한 기술들이에요.
🔄 인덱스 접근 과정 정리하기
지금까지 배운 인덱스 접근 과정을 차례차례 정리해보겠습니다.
첫 번째 단계는 배열 상태 파악하기입니다. 배열에 몇 개의 정보가 들어있는지, 어떤 정보들이 있는지 확인해서 유효한 인덱스 범위를 알아두세요.
두 번째 단계는 접근 방법 선택하기입니다. 특정 자리에 직접 접근할지, 계산으로 자리를 구할지, 반복문으로 전체를 처리할지 상황에 맞게 선택해요.
세 번째는 안전성 확인하기 단계입니다. 사용할 인덱스가 유효한 범위(0부터 길이-1까지) 안에 있는지 검사해요. 이 과정을 생략하면 undefined
값이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요.
네 번째는 정보 찾기 및 활용 단계입니다. 안전하게 정보를 가져온 후 필요한 작업을 수행해요. 출력, 계산, 비교, 수정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결과 확인 단계입니다. 의도한 대로 작동했는지 결과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 처리를 진행합니다.
🧚♀️ 이야기로 다시 배우기: 조용한 도서관 시스템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하나의 잔잔한 이야기로 다시 정리해볼까요?
어느 날, 젊은 학생 별이는 새로 개관한 조용한 도서관을 방문했습니다. 이 도서관은 정말 특별했는데, 수많은 책들이 일렬로 차분히 정렬되어 있고, 각 책마다 0번, 1번, 2번...이라는 작은 번호가 조용히 붙어있었거든요.
도서관 입구에는 부드러운 목소리의 사서가 있었어요. 사서는 별이에게 이렇게 정중하게 설명해주었답니다.
"이 도서관의 책들은 디지털 번호로 관리됩니다. 원하는 번호를 말씀하시면 그 책을 보여드릴게요. 하지만 알아두실 점이 있어요."
"첫 번째로, 번호는 0번부터 시작합니다. 일반적으로는 1번부터 세지만, 디지털 세계에서는 0번이 첫 번째예요."
"두 번째로, 존재하지 않는 번호를 말씀하시면 '빈 공간'이라는 의미의 신호가 나와서 아무것도 얻을 수 없어요. 현재 이 도서관에는 0번부터 999번까지 1000권의 책이 있습니다."
별이는 차분하게 책 찾기를 시작했어요. "0번 책을 보여주세요"라고 조용히 말하니 첫 번째 책이 나타났어요. "500번 책은 어떤가요?"라고 하니 중간 부분의 책이 나타났죠.
그런데 별이가 호기심에 "2000번 책도 보고 싶어요"라고 하자, 사서가 부드럽게 미소 지으며 말했어요. "안타깝지만 2000번 책은 존재하지 않아요. 그 번호를 부르면 '빈 신호'만 돌아올 뿐이에요."
그래서 별이는 현명한 방법을 생각해냈어요. "선생님, 마지막 책은 몇 번인가요?" "그건 전체 책 수에서 1을 뺀 번호예요. 현재는 999번이 마지막이지요."
이제 별이는 "모든 책을 차례로 보여주세요"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게 되었답니다. 사서는 감탄하며 0번부터 999번까지 모든 책을 하나씩 정성스럽게 보여주었어요.
배열의 인덱스 시스템도 이와 같습니다. 우리가 정확한 번호(인덱스)만 알면 원하는 정보(데이터)를 언제든지 찾을 수 있는 것입니다.
🧠 자주 하는 실수와 조심할 점
인덱스로 배열에 접근할 때 자주 하는 실수들을 미리 알아두면 더 안전한 코딩을 할 수 있습니다.
❌ 실수 1: 마지막 요소에 접근할 때 길이를 그대로 사용하기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배열의 길이를 마지막 인덱스로 착각하는 것입니다.
let colors = ["빨강", "파랑", "노랑", "초록"];
// ❌ 잘못된 방법: 길이를 인덱스로 사용
console.log("마지막 색깔: " + colors[colors.length]); // undefined
// 길이는 4이지만, 마지막 인덱스는 3이에요!
console.log("배열 길이: " + colors.length); // 4
console.log("마지막 인덱스: " + (colors.length - 1)); // 3
// ✅ 올바른 방법: 길이에서 1을 빼기
console.log("마지막 색깔: " + colors[colors.length - 1]); // "초록"
배열의 길이가 4라면 인덱스는 0, 1, 2, 3번이므로 마지막은 반드시 길이 - 1
이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 실수 2: 음수 인덱스로 뒤에서부터 접근하려고 하기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의 경험이 있다면 음수 인덱스를 시도할 수 있지만,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let animals = ["강아지", "고양이", "토끼"];
// ❌ 잘못된 시도: 음수 인덱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안 됨)
console.log("뒤에서 첫 번째: " + animals[-1]); // undefined
// ✅ 올바른 방법: 길이를 이용한 계산
console.log("뒤에서 첫 번째: " + animals[animals.length - 1]); // "토끼"
console.log("뒤에서 두 번째: " + animals[animals.length - 2]); // "고양이"
console.log("뒤에서 세 번째: " + animals[animals.length - 3]); // "강아지"
뒤에서부터 접근하려면 항상 배열길이 - 자리
로 계산해야 합니다.
❌ 실수 3: 반복문에서 범위를 잘못 설정하기
반복문을 사용할 때 인덱스 범위를 잘못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let fruits = ["사과", "바나나", "오렌지"];
// ❌ 잘못된 반복문: <= 사용으로 범위 초과
console.log("잘못된 반복문:");
for(let i = 0; i <= fruits.length; i++) {
console.log(i + ": " + fruits[i]); // 마지막에 undefined 출력
}
// ✅ 올바른 반복문: < 사용으로 정확한 범위
console.log("올바른 반복문:");
for(let i = 0; i < fruits.length; i++) {
console.log(i + ": " + fruits[i]); // 모든 값이 정상 출력
}
반복문에서는 i < 배열.length
조건을 사용해야 마지막 인덱스가 길이 - 1
이 됩니다.
이제 여러분께 연습문제를 드리려고 합니다. 잠시 마음을 차분히 하시고 지금까지 배운 내용들을 떠올려보세요. 인덱스를 활용한 배열 접근이 처음에는 조금 복잡하게 느껴지실 수도 있지만, 사실 우리가 일상에서 주소를 이용해 장소를 찾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정확한 주소(인덱스)를 알면 원하는 곳(데이터)에 정확히 도착할 수 있는 것, 그것이 바로 인덱스 접근의 본질입니다. 연습문제를 통해 이 자연스러운 과정을 조금 더 친근하게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 연습문제로 실력 기르기
이제 배운 내용을 연습문제를 통해 차근차근 익혀보겠습니다.
Q1. 동물 배열에서 첫 번째와 마지막 동물을 안전하게 출력해보세요.
힌트: 첫 번째는 항상 0번, 마지막은 길이 - 1
번이에요!
정답 보기
let zoo = ["사자", "코끼리", "기린", "펭귄"];
console.log("동물원 동물들:");
console.log(zoo);
// 첫 번째 동물 (항상 0번)
console.log("첫 번째 동물: " + zoo[0]);
// 마지막 동물 (길이-1번)
let lastIndex = zoo.length - 1;
console.log("마지막 동물: " + zoo[lastIndex]);
console.log("총 동물 수: " + zoo.length + "마리");
Q2. 숫자 배열에서 홀수 번째 자리의 요소들만 출력해보세요.
힌트: 인덱스를 2씩 증가시키면 홀수 번째 자리(0, 2, 4...)에 접근할 수 있어요!
정답 보기
let numbers = [10, 20, 30, 40, 50, 60];
console.log("전체 숫자:");
console.log(numbers);
console.log("홀수 번째 자리 숫자들:");
for(let i = 0; i < numbers.length; i = i + 2) {
console.log((i + 1) + "번째: " + numbers[i]);
}
Q3. 과목 배열에서 "수학"이 몇 번째에 있는지 찾아보세요.
힌트: 반복문으로 모든 요소를 확인하면서 "수학"과 같은지 비교해보세요!
정답 보기
let subjects =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체육"];
console.log("과목 목록:");
console.log(subjects);
console.log("수학 찾기:");
for(let i = 0; i < subjects.length; i++) {
if(subjects[i] === "수학") {
console.log("수학은 " + (i + 1) + "번째 과목입니다");
console.log("인덱스: " + i);
break; // 찾았으니 반복 중단
}
}
🤔 좀 더 어려운 문제로 실력 확인하기
기본 연습을 마쳤다면, 이제 조금 더 깊이 있는 문제들을 통해 인덱스 접근에 대한 이해를 확인해보겠습니다.
Q1. 다음 코드에서 어떤 결과들이 나올지 예상하고 이유를 설명해보세요.
let letters = ["A", "B", "C", "D"];
console.log(letters[1]);
console.log(letters[letters.length]);
console.log(letters[letters.length - 1]);
console.log(letters[-1]);
정답:
letters[1]
: "B" (1번 인덱스)letters[letters.length]
: undefined (인덱스 4는 없음)letters[letters.length - 1]
: "D" (마지막 요소)letters[-1]
: undefined (음수 인덱스 불가)
해설: 배열의 길이는 4이지만 유효한 인덱스는 0-3까지입니다. letters.length
는 4이므로 letters[4]
는 존재하지 않아 undefined가 반환됩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음수 인덱스도 지원하지 않아요.
Q2. 배열에서 가장 큰 값과 그 자리를 함께 찾는 코드를 작성해보세요.
정답 보기
let scores = [78, 92, 85, 96, 81];
let maxValue = scores[0]; // 첫 번째 값으로 시작
let maxPosition = 0;
for(let i = 1; i < scores.length; i++) {
if(scores[i] > maxValue) {
maxValue = scores[i];
maxPosition = i;
}
}
console.log("가장 큰 값: " + maxValue);
console.log("위치: " + (maxPosition + 1) + "번째");
console.log("인덱스: " + maxPosition);
해설: 첫 번째 요소를 초기 최대값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요소들과 하나씩 비교하면서 더 큰 값을 발견할 때마다 최대값과 자리를 업데이트합니다.
📚 이전 단원 복습 문제
7단원까지 왔으니, 이전에 배운 중요한 내용들을 복습해볼까요?
복습 1) 함수와 반복문 (4-5단원 복습)
// 다음 함수를 완성해서 배열의 모든 요소의 합을 구해보세요
function calculateArraySum(numbers) {
let sum = 0;
for(let i = 0; i < numbers.length; i++) {
sum = sum + numbers[i];
}
return sum;
}
let testNumbers = [10, 20, 30, 40];
let result = calculateArraySum(testNumbers);
console.log("배열의 합: " + result); // 이 출력 결과는?
정답: "배열의 합: 100"이 출력됩니다 (10+20+30+40 = 100).
해설: 함수에서 for문을 사용해서 배열의 모든 요소를 순회하면서 sum에 각 값을 더하고, 최종 합계를 반환했습니다.
복습 2) 조건문과 변수 (1-3단원 복습)
// 배열에서 90점 이상인 점수의 개수를 구해보세요
let testScores = [85, 92, 78, 96, 88];
let highScoreCount = 0;
for(let i = 0; i < testScores.length; i++) {
if(testScores[i] >= 90) {
highScoreCount = highScoreCount + 1;
}
}
console.log("90점 이상 점수 개수: " + highScoreCount);
정답: "90점 이상 점수 개수: 2"가 출력됩니다 (92점과 96점).
지금까지 인덱스를 사용해서 배열의 정보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꺼내는 방법을 차근차근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배열의 어떤 자리든 자유자재로 접근할 수 있고, 반복문과 조합해서 복잡한 데이터 처리도 할 수 있게 되었어요. 마치 숙련된 정보 탐색 전문가가 된 것처럼, 정보의 바다에서 원하는 정보를 정확히 찾아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 것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배열에 새로운 정보를 추가하고 제거하는 더 편리한 방법들을 배워볼 예정입니다. 오늘도 정말 잘하셨습니다! 💙
✅ 학습 완료 체크리스트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들을 모두 이해했는지 확인해보세요!
학습 내용 | 이해했나요? |
---|---|
인덱스 접근 기본 방법 | ✅ |
안전한 배열 접근 | ✅ |
반복문과 인덱스 조합 | ✅ |
자주 하는 실수들 | ✅ |
실전 예제 이해 | ✅ |
📂 마무리 정보
오늘 배운 7.1.3
내용이 여러분의 자바스크립트 지식에 잘 저장되었나요? 다음 시간에는 더 흥미로운 내용으로 만나요!
기억할 점: 오늘 배운 내용을 꼭 연습해보시고,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 다시 돌아와서 읽어보세요.
무료 JavaScript 학습 플랫폼에서 단계별 학습과 실시간 코드 실행을 통해
더욱 효과적이고 재미있게 학습하실 수 있습니다.
'7. 여러 개 모아두기 (배열) > 7.1 배열 상자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1.2 배열 만들고 사용하기 - 나만의 정리함 완성하기 (0) | 2025.07.07 |
---|---|
7.1.1 배열이 뭐예요? - 여러 개의 물건을 담는 똑똑한 상자 (0) | 2025.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