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4

5.1.1 선언식 vs 표현식 - 함수를 만드는 두 가지 방법

📘 5.1.1 선언식 vs 표현식 - 함수를 만드는 두 가지 방법새로운 문을 열며 들어서게 되는 이 순간, 여러분과 함께 함수라는 아름다운 세계를 탐험해보려 해요. 함수는 마치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요리 레시피나 익숙한 계산기의 버튼처럼, 한 번 만들어두면 언제든지 불러와 사용할 수 있는 소중한 도구랍니다.특히 오늘은 함수를 만드는 두 가지 서로 다른 방법을 살펴보려 해요. 마치 같은 목적지에 도달하는 여러 길이 있는 것처럼, 함수도 다양한 방법으로 만들어낼 수 있어요.🧠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새로운 언어를 익히는 것은 새로운 친구를 사귀는 것과 같아요. 차근차근 인사부터 나누어 보겠습니다.단어쉬운 설명함수 (function)특정한 일을 하는 작은 프로그램 조각이에요.함수 만드는 방법1funct..

4.4.2 목록 값 반복하기 (for...of) - 과일 하나씩 꺼내기

📘 4.4.2 목록 값 반복하기 (for...of) - 과일 하나씩 꺼내기지난 시간의 기억이 아직 여러분 마음 속에 따뜻하게 남아있나요? 우리는 정보 묶음의 속성을 하나씩 확인하는 for...in문을 함께 배웠어요. 오늘은 그와 닮아있지만 또 다른 매력을 가진 반복문을 만나볼 거예요. 바로 for...of문입니다.이것은 마치 바구니에서 과일을 하나씩 꺼내어 맛보는 것처럼, 목록의 값들을 하나씩 꺼내어 우리가 원하는 일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아름다운 도구예요.🧠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새로운 개념을 배울 때마다, 그 언어와 먼저 친숙해지는 것이 좋겠어요.단어쉬운 설명목록여러 개의 값을 순서대로 나열해놓은 것이에요. 마치 일렬로 선 모습과 같아요.요소목록 안에 들어있는 각각의 값을 말해요.순서 번호목록에..

4.4.1 정보 묶음 속성 반복하기 (for...in) - 서랍 한 칸씩 열어보기

📘 4.4.1 정보 묶음 속성 반복하기 (for...in) - 서랍 한 칸씩 열어보기여러분과 함께하는 이 시간이 참 소중합니다. 오늘은 반복문의 새로운 얼굴을 만나보려 해요. 바로 for...in문입니다. 이것은 마치 오래된 서랍을 하나씩 열어보며, 그 안에 무엇이 담겨 있는지 천천히 확인하는 것과 같아요.지금까지 여러분이 배운 반복문들과는 조금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그만큼 특별한 힘을 가지고 있답니다. 여러 정보가 하나로 모여있는 묶음을 다룰 때, 이보다 더 적절한 도구는 없을 거예요.🧠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코딩의 언어를 배우는 것은 새로운 친구와 대화를 시작하는 것과 같아요. 먼저 이 친구들과 인사를 나눠볼까요?단어쉬운 설명정보 묶음관련된 여러 정보들을 하나로 묶어놓은 것이에요. 마치 ..

4.3.2 while과의 차이점 - 언제 확인하느냐가 중요해요!

📘 4.3.2 while과의 차이점 - 언제 확인하느냐가 중요해요!여러분, 안녕하세요.어릴 때 할머니와 함께 시장에 갔던 기억이 있습니다. 할머니는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과일 가게를 이용하셨어요. 첫 번째 방식은 멀리서 과일들을 쭉 살펴보시고 "오늘 과일이 신선해 보이나?"를 확인한 후에 가게에 들어가시는 것이었어요. 두 번째 방식은 일단 가게에 들어가서 직접 과일을 만져보고 나서 "이 과일들이 괜찮나?"를 판단하시는 것이었죠.프로그래밍에서도 이런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while문과 do...while문이 바로 그것이에요. 둘 다 반복이라는 같은 일을 하지만, 언제 조건을 확인하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른 결과를 만들어냅니다.오늘은 이 두 방식의 차이점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새로운 단어들과 ..

4.3.1 `do...while`문 - 최소 한 번은 실행하기

📘 4.3.1 do...while문 - 최소 한 번은 실행하기여러분, 안녕하세요.저는 어릴 때 처음 자전거를 탈 때의 일이 생생히 기억납니다. 아버지께서 "자전거를 탈 수 있을까?"라고 물어보시면 저는 "모르겠어요"라고 대답했죠. 그러자 아버지는 "일단 한 번 타보자"라고 하시며 자전거에 올려주셨어요. 그 한 번의 시도가 제가 자전거를 배우는 시작이었습니다.프로그래밍에서도 이런 상황들이 있습니다. 조건을 먼저 확인하는 것보다 일단 한 번은 해봐야 하는 경우들 말이에요.지금까지 배운 while문이 "조건을 먼저 확인하고 반복하기"였다면, 오늘 배울 do...while문은 "일단 해보고 나서 결정하기"입니다. 마치 자전거를 처음 탈 때처럼요.🧠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오늘 만날 개념들을 차근차근 살펴보겠..

4.2.2 무한 반복 조심하기 - 끝나지 않는 위험한 함정 피하기

📘 4.2.2 무한 반복 조심하기 - 끝나지 않는 위험한 함정 피하기여러분, 안녕하세요.어릴 때 저는 신발끈을 제대로 묶지 못해서 자주 넘어졌던 기억이 있습니다. 한 번은 끈이 계속 풀어져서, 묶고 또 묶고 해도 끝없이 다시 풀어지는 일이 있었어요. 그때 할머니가 와서 올바른 방법을 가르쳐주시며 "처음부터 제대로 하지 않으면 끝없이 반복하게 된다"고 말씀하셨죠.프로그래밍에서도 이런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지난 시간에 배운 while문은 정말 유용한 도구이지만, 작은 실수 하나로 인해 끝없이 반복되는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 있어요.오늘은 그런 함정을 미리 알아보고, 안전하게 피하는 방법을 함께 배워보겠습니다. 마치 할머니가 신발끈 묶는 올바른 방법을 가르쳐주셨듯이 말이에요.🧠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

4.2.1 `while`문 -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기다리기

📘 4.2.1 while문 -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기다리기여러분, 안녕하세요.어릴 때 제가 자주 했던 일 중 하나가 창가에 앉아서 비가 그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었습니다. 언제 그칠지는 모르지만, 비가 멈추면 밖에 나가 놀 수 있다는 기대를 품고 있었죠. 그때는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정확히 알 수 없었지만, 비가 그친다는 조건이 만족되면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어요.프로그래밍에서도 이런 상황들이 있습니다. 정확히 몇 번 반복해야 할지 미리 알 수 없지만, 특정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는 계속 기다려야 하는 경우 말이에요.지난 시간에 배운 for문이 "정확히 10번 해줘"라고 하는 명령이라면, 오늘 배울 while문은 "이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계속 해줘"라고 하는 더 유연한 명령입니다.🧠 새로..

4.1.3 반복 범위 조절하기 - 원하는 부분만 선택하기

📘 4.1.3 반복 범위 조절하기 - 원하는 부분만 선택하기여러분, 안녕하세요.저는 어릴 때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읽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때로는 책 전체를 다 읽기도 했지만, 필요한 부분만 골라서 읽을 때도 있었어요. 예를 들어, 요리책에서는 디저트 부분만, 여행책에서는 제주도 부분만 읽는 식으로요.프로그래밍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때로는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것을 반복할 필요가 없어요. 우리가 원하는 부분만 선택해서 반복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오늘은 그런 선택적 반복의 지혜를 배워보겠습니다. 마치 좋은 독자가 책에서 필요한 부분을 찾아 읽듯이, 우리도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부분만 골라서 처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어요.🧠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오늘 만날 개념들을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단어설명반..

4.1.2 카운터 변수 - 현재 몇 번째인지 기억하는 친구

📘 4.1.2 카운터 변수 - 현재 몇 번째인지 기억하는 친구여러분, 안녕하세요.어릴 때 할머니와 함께 콩을 고르던 기억이 납니다. 할머니는 한 알씩 콩을 골라내시면서 "하나, 둘, 셋..."하고 세어가셨어요. 정확히 몇 개를 골랐는지 알기 위해서였죠. 그 할머니의 신중한 손가락 동작과 함께 들려오는 숫자들이 지금도 생생합니다.프로그래밍에서도 그런 할머니 같은 존재가 있어요. 바로 카운터 변수입니다. 현재 몇 번째 반복인지를 정확히 기억하고, 우리에게 알려주는 성실한 친구죠.지난 시간에 배운 for문이 정확하게 반복할 수 있는 이유가 바로 이 카운터 변수 때문입니다. 마치 할머니가 콩을 세시듯이, 카운터 변수도 하나하나 차근차근 세어가며 우리를 도와줍니다.🧠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오늘 만날 개념들을..

4.1.1 `for`문 -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기

📘 4.1.1 for문 -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기여러분, 안녕하세요. 제가 어릴 때 할머니는 매일 아침 마당에 곡식을 말리셨습니다. 쌀 한 톨 한 톨을 정성스럽게 골라내시는 모습을 보면서, 같은 동작을 수백 번 반복하시는 할머니의 인내와 정확성에 감탄했던 기억이 납니다.프로그래밍에서도 때로는 같은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할머니처럼 그런 인내심을 컴퓨터에게 맡길 수 있는 도구가 있어요. 바로 for문입니다.for문은 마치 성실한 조수처럼, 우리가 지시한 일을 정확한 횟수만큼 묵묵히 수행해줍니다. 실수하지 않고, 지치지 않고, 정해진 만큼만 정확히 반복해주죠.🧠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오늘 만날 개념들을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단어설명for문정해진 횟수만큼 같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