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mise 14

13.5.3 에러 처리와 응용 - 문제 상황에서도 든든한 프로그램 만들기

📘 13.5.3 에러 처리와 응용 - 문제 상황에서도 든든한 프로그램 만들기여러분,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멀리 있는 서버에게 정보를 요청하고, 그 답장을 받아서 처리하는 방법을 차근차근 배워왔습니다. 하지만 세상일이 언제나 우리 뜻대로만 흘러가지는 않듯이, 인터넷 세상에서도 예상치 못한 일들이 일어나곤 해요. 때로는 인터넝이 갑자기 끊어지기도 하고, 서버 컴퓨터에 문제가 생기기도 하며, 우리가 잘못된 주소로 편지를 보내기도 하죠. 이런 순간들을 마주했을 때,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오늘은 그런 예상치 못한 순간들을 따뜻하게 감싸 안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비 오는 날 우산을 준비하듯, 프로그램도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야 해요. 문제가 생겨도 사용자가 당황하지 않고 "아, 이런 일이 ..

13.5.2 JSON 응답 처리하기 - 서버가 보내주는 정보 읽어보기

📘 13.5.2 JSON 응답 처리하기 - 서버가 보내주는 정보 읽어보기안녕하세요, 여러분. 지난 시간에 우리는 서버에게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마치 멀리 있는 친구에게 편지를 보내는 것처럼, 서버에게 "정보를 보내주세요"라고 부탁했지요. 이제는 서버가 보내준 답장을 어떻게 읽고 이해하는지 알아볼 차례입니다. 서버가 보내주는 정보는 JSON이라는 특별한 형식으로 되어 있어요. 마치 정리정돈이 잘 된 책장처럼, 각각의 정보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답니다. 이 소중한 정보를 어떻게 읽어서 우리가 원하는 내용을 찾아내는지 함께 배워보겠습니다.🧠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JSON으로 된 정보를 다루기 위해 꼭 알아야 할 단어들을 차근차근 설명해드리겠습니다.단어의미JSONJavaScript Obje..

13.5.1 fetch - 인터넷에서 정보 가져오는 도구

📘 13.5.1 fetch - 인터넷에서 정보 가져오는 도구안녕하세요, 여러분. 지금까지 우리가 함께 걸어온 길을 돌아보니, 참으로 많은 것들을 배웠습니다. Promise의 약속과 기다림, async/await의 아름다운 기다림의 문법까지. 마치 씨앗을 심고 물을 주며 기다리는 정원사처럼, 우리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순서가 있는 일들을 다루는 방법을 천천히 익혀왔어요.이제는 그 모든 배움이 꽃을 피우는 순간입니다. 바로 fetch라는 도구를 만나볼 차례예요. 이 작은 도구는 인터넷이라는 넓은 바다에서 우리가 필요한 정보를 조용히 가져와 줍니다. 마치 멀리 있는 친구에게 편지를 보내고 답장을 받는 것처럼, 서버라는 먼 곳에 있는 정보를 우리 웹페이지로 불러올 수 있게 해주는 소중한 기능이지요.🧠 새로운..

13.4.3 Promise vs async/await - 두 가지 방법 비교해보기

📘 13.4.3 Promise vs async/await - 두 가지 방법 비교해보기여러분과 함께 걸어온 이 길이 참 멀고도 아름다웠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정말 아름다운 여행을 해왔지요. Promise라는 약속 방법과 async/await라는 기다리기 방법을 각각 배워보면서, 순서가 있는 일들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방법을 나란히 놓고 차분히 비교해볼 시간입니다. 마치 같은 목적지로 가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길을 비교해서 어떤 길이 더 아름다운지, 어떤 길이 더 편안한지 알아보는 것과 같습니다. 두 방법 모두 같은 목표를 향해 걸어가지만, 걸어가는 방식이 조금씩 다릅니다.🧠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Promise와 async/await를 비교하면서 알아둘 단어들을 자연스..

13.4.2 async/await에서 에러 처리하기 - 안전한 비동기 프로그래밍

📘 13.4.2 async/await에서 에러 처리하기 - 안전한 비동기 프로그래밍여러분과 함께한 지난 시간, async/await의 기본 사용법을 배우면서 Promise를 훨씬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실제 삶에서는 항상 일이 계획대로 되지 않을 수 있지요. 네트워크가 끊어지거나, 서버에서 문제가 생기거나, 예상치 못한 데이터가 들어올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런 예상치 못한 상황들을 차분하고 안전하게 처리하는 try/catch 문을 배워보겠습니다. 마치 우산을 준비해서 갑작스러운 비를 피하듯, 우리의 코드도 안전장치를 만들어줄 것입니다.🧠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async/await에서 오류 처리와 관련된 중요한 단어들을 자연스럽게 살펴보겠습니다.단어쉬운 설명try/catch오류가 ..

13.4.1 async/await - Promise를 더 쉽게 만드는 특별한 키워드

📘 13.4.1 async/await - Promise를 더 쉽게 만드는 특별한 키워드여러분과 함께 Promise의 길을 걸어오면서, 때로는 그 길이 조금 복잡하게 느껴지기도 했을 겁니다. 지금까지 Promise와 체이닝을 배우면서 콜백 지옥을 해결하는 여러 방법들을 익혔지만, Promise 체이닝도 때로는 우리 마음처럼 자연스럽지 않을 수 있지요. 오늘은 Promise를 훨씬 더 쉽고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async/await라는 아름다운 기능을 배워보겠습니다. 마치 복잡한 문장을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말로 바꿔주는 것처럼, 어려운 Promise 코드를 마치 평범한 대화처럼 만들어주는 도구입니다.🧠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단어쉬운 설명async함수가 비동기 함수라는 것을 나타내는 키워드..

13.3.3 Promise 체이닝 - 비동기 작업들을 순서대로 연결하기

📘 13.3.3 Promise 체이닝 - 비동기 작업들을 순서대로 연결하기여러분과 함께 지나온 시간들이 쌓여서, 이제 Promise의 더 깊은 아름다움을 함께 발견할 때가 왔습니다. 지난 시간에 Promise의 then, catch, finally를 배웠다면, 오늘은 여러 개의 비동기 작업을 순서대로 연결하는 Promise 체이닝이라는 섬세한 기법을 배워보겠습니다.마치 봄이 여름으로, 여름이 가을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듯, 하나의 작업이 끝나면 자동으로 다음 작업이 시작되는 흐름. 그 흐름 속에서 우리는 복잡한 일들을 차근차근 해결해 나갈 수 있습니다.🧠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단어쉬운 설명Promise 체이닝여러 Promise를 사슬처럼 연결해서 순서대로 실행하는 방법이에요체인 (Chain)고리고리 연..

13.3.2 Promise의 세 친구들 - then, catch, finally

📘 13.3.2 Promise의 세 친구들 - then, catch, finally여러분과 함께하는 이 시간이 참 소중하게 느껴집니다. 지난 시간 Promise의 첫 발걸음을 떼었다면, 이제는 그 Promise가 우리에게 전해주는 결과를 어떻게 받아들일지를 배워볼 차례입니다. Promise에는 세 명의 든든한 친구들이 있습니다. then, catch, finally라는 이름을 가진 이들은 각각의 역할이 있어서, 마치 계절이 바뀌듯 자연스럽게 우리를 도와줍니다. 시험을 보고 난 후 결과를 기다리는 마음처럼, 우리도 미리 준비해 둔 마음가짐으로 그 결과를 맞이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단어쉬운 설명thenPromise가 성공했을 때 실행되는 기능이에요catchPromise가 실패했을 때 ..

13.3.1 Promise - 미래의 약속을 담는 편리한 도구

📘 13.3.1 Promise - 미래의 약속을 담는 편리한 도구약속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시작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정말 신나는 여행을 시작할 거예요. 지금까지 콜백 지옥에서 탈출하는 방법들을 함께 찾아왔는데, 이제 놀라운 해결책을 만나볼 시간이에요. 바로 Promise라는 아름다운 도구입니다.Promise는 마치 "나중에 결과를 꼭 알려드릴게요"라는 정중한 약속 편지 같아서, 복잡한 비동기 작업을 훨씬 더 깔끔하고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줄 수 있어요.🧠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단어의미Promise미래에 완료될 작업의 결과를 나타내는 특별한 도구예요Pending아직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기다리는 중" 상태예요Fulfilled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성공!" 상태예요Rejected작업이 실패한 ..

13.2.3 복잡한 코드를 정리하는 방법 - 함수를 나누어서 깔끔하게 만들기

📘 13.2.3 복잡한 코드를 정리하는 방법 - 함수를 나누어서 깔끔하게 만들기엉킨 실타래를 풀어내는 마음으로안녕하세요, 여러분. 지난 시간에 콜백 지옥이라는 복잡한 문제를 만났었죠? 마치 엉킨 실타래처럼 복잡했던 코드들 말이에요. 그 복잡함 속에서 길을 잃기 쉬웠던 우리의 마음을 기억하시나요?오늘은 그 복잡한 코드를 깔끔하고 이해하기 쉽게 바꿔주는 좋은 방법을 배워볼 거예요. 바로 함수 나누기예요. 마치 큰 레고 덩어리를 작은 조각들로 나누어서 정리하는 것처럼, 또는 무거운 짐을 여러 개의 가벼운 짐으로 나누어 들기 쉽게 만드는 것처럼 말이에요.🧠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단어의미함수 나누기큰 함수를 작은 함수 여러 개로 나누어서 정리하는 방법이에요이름 있는 함수무슨 일을 하는지 이름만 봐도 알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