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여러 개 모아두기 (배열)/7.2 배열에 넣고 빼기

7.2.1 뒤에 추가하기 (push) - 자동 확장 목록 만들기

thejavascript4kids 2025. 7. 8. 03:26

📘 7.2.1 뒤에 추가하기 (push) - 자동 확장 목록 만들기

여러분과 함께 이 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배열이라는 상자를 만들어보고, 그 안에 들어있는 것들을 하나씩 꺼내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제 우리는 조금 다른 이야기를 써보려 합니다. 배열에 새로운 것들을 넣어주는 이야기를 말이지요.

생각해보세요. 학교에서 돌아와 책상에 앉아 일기를 쓰는 여러분의 모습을. 처음에는 빈 종이였지만, 하루의 이야기들이 하나씩 줄을 채워나가면서 온전한 하루가 됩니다. 그렇게 우리의 배열도 처음엔 작았지만, 필요한 것들이 하나씩 더해져 가면서 의미 있는 목록이 되어갑니다.

push라는 기능은 참 정직한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어로는 '밀어넣다'라는 뜻이지요. 마치 서랍 안에 물건을 정리할 때, 빈 공간을 찾아 살며시 넣어두는 것처럼, push는 배열의 맨 끝에 새로운 값을 조용히 추가해줍니다.

복잡한 계산은 필요 없습니다. 현재 배열이 몇 개나 되는지 셀 필요도 없고요. 그저 "추가해주세요"라고 부탁하면, 컴퓨터가 알아서 적절한 자리를 찾아 정리해줍니다.

🧠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

새로운 개념들을 만날 때마다 저는 늘 생각합니다. 어려운 말들이 우리를 멀어지게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요. 그래서 이렇게 정리해보았습니다.

단어 친근한 설명
push 배열의 맨 뒤에 새로운 값을 조용히 추가해주는 기능입니다.
메서드 배열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기능들을 이렇게 부릅니다.
반환값 push를 사용한 후 배열이 우리에게 알려주는 새로운 크기입니다.
동적 배열 필요에 따라 스스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배열입니다.

✨ push가 가진 따뜻함

push를 사용하다보면 참 편안한 마음이 듭니다. 복잡한 것들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되거든요. 배열의 현재 크기가 몇인지, 다음 빈 자리가 어디인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아침에 일어나 하루를 시작하면서 해야 할 일들을 메모지에 적어두는 것을 상상해보세요. 첫 번째 일을 적고, 두 번째 일을 그 아래에 적고, 세 번째 일을 또 그 아래에 적습니다. 자연스럽게 목록이 길어지죠.

push도 정확히 이와 같습니다. 우리가 새로운 할 일을 추가하면, 자동으로 목록의 맨 아래에 정리됩니다. 그리고 지금 목록에 총 몇 개의 할 일이 있는지도 알려줍니다.

한 번에 여러 개의 일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장보기, 빨래하기, 청소하기"처럼 관련된 일들을 한 번에 적어두는 것처럼요.

무엇보다 좋은 점은 push가 원래 배열을 직접 변경한다는 것입니다. 새로운 종이를 가져올 필요 없이, 기존의 메모지에 계속 추가하는 것과 같습니다.

일상의 비유: 식당의 주문 접수

식당에서 주문을 받는 상황을 떠올려보겠습니다. 주방에서는 들어오는 주문들을 차례대로 처리하기 위해 주문서를 쌓아둡니다.

첫 번째 손님이 와서 "김치찌개 하나요"라고 주문하면, 주문서가 빈 곳에 놓입니다. 두 번째 손님이 "된장찌개 하나요"라고 하면, 그 주문서는 첫 번째 주문서 뒤에 놓이죠. 세 번째 손님이 오면 또 그 뒤에 놓입니다.

이때 주문을 받는 직원은 매번 현재 몇 개의 주문이 있는지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새로운 주문을 정확한 순서에 둘 수 있거든요.

어떤 때는 단체 손님이 와서 "김치찌개 3개, 된장찌개 2개"라고 주문하기도 합니다. 그럼 직원은 5장의 주문서를 차례대로 기존 주문서들 뒤에 쌓아둡니다.

push가 하는 일이 정확히 이와 같습니다. 우리의 데이터들이 식당 주문서처럼 차례대로, 질서 있게 정리되도록 도와주는 것이지요.

🎯 왜 push를 사용할까요

때로는 왜 이런 기능이 필요한지 궁금해집니다. 그냥 배열의 크기를 직접 계산해서 값을 넣으면 안 될까요?

물론 그렇게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면 우리가 신경 써야 할 것들이 많아집니다. 현재 배열에 몇 개의 값이 있는지 세어보고, 다음 빈 자리가 몇 번째인지 계산하고, 그 자리에 값을 넣고... 이런 과정을 매번 반복해야 합니다.

push를 사용하면 이 모든 것들이 자동으로 처리됩니다. 우리는 그저 "이것을 추가해주세요"라고 말하기만 하면 됩니다.

실제 생활에서도 그렇습니다. 휴대폰의 전화번호부에 새로운 연락처를 추가할 때, 현재 몇 개의 연락처가 있는지 세어보지 않습니다. 그냥 "추가" 버튼을 누르고 정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적절한 위치에 저장되죠.

온라인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물건을 담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현재 장바구니에 몇 개의 상품이 있는지 확인하고 그 다음 순서를 계산해서 넣지 않습니다. 그냥 "장바구니에 담기"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push가 주는 편안함이 바로 이런 것입니다.

⚙️ push 사용법 천천히 살펴보기

push를 사용하는 방법은 참 간단합니다.

기본적인 사용법:

배열이름.push(새로운값);

여러 개를 한 번에 추가할 때:

배열이름.push(값1, 값2, 값3);

새로운 크기를 확인하고 싶을 때:

let 새크기 = 배열이름.push(새로운값);

알아두면 좋은 특징들:

  • push는 항상 배열의 맨 뒤에 값을 추가합니다
  • 원래 배열이 직접 변경되므로 새로운 변수에 할당할 필요가 없습니다
  • 추가된 후의 새로운 배열 크기를 돌려줍니다
  • 한 번에 원하는 만큼 많은 값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실제로 사용해보기

이제 실제 예제를 통해 push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 예제 1: 좋아하는 책 목록 만들기

독서를 좋아하는 학생이 자신만의 책 목록을 만들어가는 이야기를 따라가보겠습니다.

// 좋아하는 책 목록 시작하기
let favoriteBooks = ["어린왕자"]; // 첫 번째 책으로 시작합니다

// 현재 목록 확인해보기
console.log("📚 현재 책 목록:");             
console.log(favoriteBooks);                       
console.log("총 " + favoriteBooks.length + "권"); 

// 두 번째 책 추가하기
console.log("\n📘 새로운 책을 추가해보겠습니다");      
favoriteBooks.push("해리포터");                    // 목록 맨 뒤에 추가됩니다

console.log("추가한 후 목록:");                 
console.log(favoriteBooks);                       
console.log("총 " + favoriteBooks.length + "권"); 

// 세 번째 책 추가하기
console.log("\n📗 또 다른 책을 추가해보겠습니다");      
favoriteBooks.push("반지의 제왕");                    // 다시 맨 뒤에 추가됩니다

console.log("추가한 후 목록:");                 
console.log(favoriteBooks);                       
console.log("총 " + favoriteBooks.length + "권"); 

// 네 번째 책 추가하기
console.log("\n📙 마지막으로 한 권 더 추가하겠습니다");     
favoriteBooks.push("호빗");                      // 계속해서 맨 뒤에 추가됩니다

console.log("🎉 완성된 책 목록:");            
console.log(favoriteBooks);                       
console.log("총 " + favoriteBooks.length + "권의 책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 예제를 보면 push를 사용할 때마다 배열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몇 번째 자리에 넣을지 계산하지 않았지만, push가 알아서 적절한 위치에 책들을 정리해주었습니다.

🔹 예제 2: 오늘 먹을 음식들 정하기

점심시간이 되어 친구들과 함께 먹을 음식들을 정하는 상황을 상상해보겠습니다.

// 오늘 먹을 음식 목록 만들기
let todayMenu = ["김치찌개"]; // 첫 번째 메뉴로 시작합니다

// 처음 메뉴 확인하기  
console.log("🍽️ 현재 메뉴:");   
console.log(todayMenu);                     
console.log("메뉴 개수: " + todayMenu.length + "개"); 

// 친구들이 추가로 원하는 음식들 한 번에 추가하기
console.log("\n🥘 친구들이 원하는 음식들을 추가해보겠습니다"); 
todayMenu.push("불고기", "비빔밥", "냉면");     // 세 개 음식을 동시에 추가합니다

console.log("추가한 후 메뉴:");              
console.log(todayMenu);                     
console.log("메뉴 개수: " + todayMenu.length + "개"); 

// 또 다른 음식 하나 더 추가하기
console.log("\n🍜 마지막으로 한 개 더 추가하겠습니다");      
todayMenu.push("라면");                     // 하나만 더 추가합니다

console.log("추가한 후 메뉴:");                 
console.log(todayMenu);                     

// 최종 메뉴 완성
console.log("\n✨ 오늘의 최종 메뉴"); 
todayMenu.push("떡볶이", "순대");             // 마지막으로 두 개 더 추가합니다

console.log("🎊 완성된 오늘의 메뉴:");           
console.log(todayMenu);                     
console.log("총 " + todayMenu.length + "개의 맛있는 음식들을 먹을 수 있습니다"); 

이 예제에서는 push의 유연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한 개씩 추가하거나 여러 개를 동시에 추가하는 것이 자유롭게 가능합니다.

🔹 예제 3: 시험 점수 기록하기 - push 결과값 활용하기

학생이 여러 과목의 시험을 보면서 점수를 차례대로 기록하는 상황입니다.

// 시험 점수 기록 시작하기
let testScores = []; // 빈 점수 목록으로 시작합니다

console.log("📊 시험 점수 기록하기");  
console.log("시작: 빈 기록부 (과목 수: " + testScores.length + "개)"); 

// 첫 번째 시험 점수 추가하고 결과 확인하기
console.log("\n📝 국어 시험 점수를 기록하겠습니다");          
let subjectCount1 = testScores.push(85);       // 국어 85점을 추가합니다
console.log("국어 85점을 기록했습니다");               
console.log("현재 점수들: " + testScores);     
console.log("총 과목 수: " + subjectCount1 + "개"); 

// 두 번째 시험 점수 추가하기
console.log("\n🔢 수학 시험 점수를 기록하겠습니다");          
let subjectCount2 = testScores.push(92);       // 수학 92점을 추가합니다
console.log("수학 92점을 기록했습니다");               
console.log("현재 점수들: " + testScores);     
console.log("총 과목 수: " + subjectCount2 + "개"); 

// 여러 과목 점수를 한 번에 추가하고 결과 확인하기
console.log("\n🌍 영어, 과학 점수를 함께 기록하겠습니다"); 
let subjectCount3 = testScores.push(78, 89);   // 영어 78점, 과학 89점을 동시에 추가합니다
console.log("영어 78점, 과학 89점을 기록했습니다");   
console.log("현재 점수들: " + testScores);     
console.log("총 과목 수: " + subjectCount3 + "개"); 

// 최종 점수 정리하기
console.log("\n🏆 최종 성적표"); 
console.log("전체 점수: " + testScores);       
console.log("시험 본 과목 수: " + testScores.length + "과목"); 

// 총점과 평균 계산해보기
let totalScore = testScores[0] + testScores[1] + testScores[2] + testScores[3]; 
let average = totalScore / testScores.length;  
console.log("총점: " + totalScore + "점");         
console.log("평균: " + average + "점");            

이 예제에서는 push가 돌려주는 새로운 크기값을 활용해서 현재 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계산을 수행했습니다.

🔄 push 사용하는 과정 정리하기

지금까지의 경험을 바탕으로 push를 사용하는 과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현재 배열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지금 무엇이 들어있는지, 몇 개나 있는지 파악해두면 push 사용 후 변화를 명확히 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추가할 값들을 준비합니다. 한 개만 추가할지, 여러 개를 한 번에 추가할지 미리 생각해보고 값들을 준비합니다.

그리고 push를 실행합니다. 배열이름.push(값) 형태로 간단히 실행하면 됩니다. 필요하다면 돌려주는 값을 변수에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결과를 확인합니다. 배열의 내용과 크기가 예상대로 변경되었는지 확인해봅니다. 특히 여러 값을 동시에 추가했을 때는 순서도 확인해보세요.

마지막으로 추가 작업을 수행합니다. 필요에 따라 더 많은 값을 추가하거나, 배열의 정보를 활용해서 다른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 일상 속 이야기: 우리집 장보기 목록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하나의 이야기로 다시 정리해보겠습니다.

어느 토요일 오후, 은지는 엄마와 함께 마트에 가기 위해 장보기 목록을 만들고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노트에 "우유"라고 하나만 적어놓았습니다.

그런데 냉장고를 열어보니 계란도 떨어져 가고 있었습니다. 은지는 목록에 "계란"을 추가했습니다. 우유 다음 줄에 자연스럽게 적혔습니다.

"아, 빵도 필요하다"라고 생각한 은지는 계란 다음 줄에 "빵"을 추가했습니다. 목록이 점점 길어지고 있었습니다.

그때 엄마가 부엌에서 "은지야, 양파랑 당근, 감자도 필요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은지는 한 번에 세 개를 더 적었습니다. 양파, 당근, 감자가 차례대로 목록에 추가되었습니다.

동생이 와서 "과자도 사자!"라고 했습니다. 은지는 과자도 목록 맨 아래에 추가했습니다.

마트에 가기 직전, 아빠가 "음료수랑 과일도 필요하겠다"라고 하셨습니다. 은지는 마지막으로 음료수와 과일을 목록에 추가했습니다.

최종 목록을 보니 총 9개의 항목이 있었습니다: 우유, 계란, 빵, 양파, 당근, 감자, 과자, 음료수, 과일.

은지가 목록을 만들면서 한 일이 바로 push와 같습니다. 매번 목록의 맨 아래에 새로운 항목을 추가하고, 현재 몇 개의 항목이 있는지 자연스럽게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 주의할 점들

push를 사용할 때 가끔 실수하는 부분들을 미리 알아두면 도움이 됩니다.

❌ 실수 1: push와 인덱스 할당을 혼동하기

가끔 push 대신 인덱스를 직접 계산해서 값을 넣으려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let fruits = ["사과", "바나나"];

// ❌ 복잡한 방법
fruits[fruits.length] = "오렌지"; // 크기를 직접 계산해서 사용합니다
fruits[3] = "포도"; // 고정된 숫자를 사용합니다

console.log(fruits); // ["사과", "바나나", "오렌지", "포도"]

// ✅ 간단하고 안전한 방법
let betterFruits = ["사과", "바나나"];
betterFruits.push("오렌지"); // 자동으로 맨 뒤에 추가됩니다
betterFruits.push("포도");   // 자동으로 그 다음에 추가됩니다

console.log(betterFruits); // ["사과", "바나나", "오렌지", "포도"]

push를 사용하면 복잡한 계산 없이도 안전하게 값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실수 2: push가 돌려주는 값을 배열로 생각하기

push가 돌려주는 값은 배열이 아니라 새로운 크기라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let numbers = [1, 2, 3];

// ❌ 잘못된 이해
let result = numbers.push(4);
console.log(result); // 4 (배열이 아닌 새로운 크기입니다)
console.log(result[0]); // undefined (result는 숫자이므로 인덱스로 접근할 수 없습니다)

// ✅ 올바른 이해
numbers.push(5); // 값을 추가합니다
console.log("배열 내용:", numbers); // [1, 2, 3, 4, 5]
console.log("배열 크기:", numbers.length); // 5

let newLength = numbers.push(6); // 추가하고 새로운 크기를 받습니다
console.log("추가 후 크기:", newLength); // 6

push는 배열 자체가 아니라 새로운 크기를 돌려준다는 점을 기억해두세요.

❌ 실수 3: 배열 전체를 하나의 값으로 추가하기

여러 값을 추가하려다가 배열 자체를 하나의 값으로 넣어버리는 실수가 있습니다.

let numbers = [1, 2, 3];
let moreNumbers = [4, 5, 6];

// ❌ 잘못된 방법
numbers.push(moreNumbers);
console.log(numbers); // [1, 2, 3, [4, 5, 6]] (배열 안에 배열이 들어갑니다)
console.log(numbers.length); // 4 (배열 하나가 추가되어 크기는 4입니다)

// ✅ 올바른 방법
let correctNumbers = [1, 2, 3];
correctNumbers.push(4, 5, 6); // 각 값을 개별적으로 추가합니다
console.log(correctNumbers); // [1, 2, 3, 4, 5, 6]
console.log(correctNumbers.length); // 6 (각 숫자가 개별 값으로 추가됩니다)

여러 값을 추가할 때는 쉼표로 구분해서 개별적으로 넣어야 합니다.

✏️ 연습문제로 실력 기르기

문제를 풀어보면서 push에 대한 이해를 더욱 깊게 만들어보겠습니다.

생각해보니, 연습문제를 풀 때도 마치 작은 이야기를 써내려가는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빈 종이에서 시작하지만, 한 줄 한 줄 코드를 써가면서 점점 완성된 프로그램이 되어가는 과정 말이지요.

Q1. 빈 배열에 좋아하는 색깔 세 개를 차례로 추가해보세요.

여러분만의 색깔 이야기를 만들어보세요. 빈 배열 []에서 시작해서 push를 세 번 사용하면 됩니다.

정답을 확인해보세요
let colors = []; // 빈 색깔 목록에서 시작합니다

console.log("처음 상태:", colors);
console.log("색깔 개수:", colors.length);

// 색깔들을 하나씩 추가해보겠습니다
colors.push("파랑");
console.log("파랑 추가 후:", colors);

colors.push("노랑");
console.log("노랑 추가 후:", colors);

colors.push("빨강");
console.log("빨강 추가 후:", colors);

console.log("최종 색깔 목록:", colors);
console.log("총 색깔 수:", colors.length + "개");

Q2. 과목 배열에 여러 과목을 한 번에 추가해보세요.

이미 "국어"와 "수학"이 있는 배열에 "영어", "과학", "사회"를 한 번에 추가해보세요.

정답을 확인해보세요
let subjects = ["국어", "수학"]; // 기본 과목 2개로 시작합니다

console.log("처음 과목들:", subjects);

// 여러 과목을 한 번에 추가합니다
subjects.push("영어", "과학", "사회");
console.log("과목 추가 후:", subjects);
console.log("총 과목 수:", subjects.length + "개");

Q3. push의 결과값을 활용해서 항목 수를 확인해보세요.

push가 돌려주는 값을 사용해서 현재 배열의 크기를 확인해보는 연습입니다.

정답을 확인해보세요
let hobbies = ["독서"]; // 취미 1개로 시작합니다

console.log("처음 취미:", hobbies);

// push 결과값으로 항목 수를 확인합니다
let hobbyCount = hobbies.push("음악감상");
console.log("음악감상 추가 후 취미 수:", hobbyCount);

hobbyCount = hobbies.push("영화보기", "운동하기");
console.log("영화보기, 운동하기 추가 후 취미 수:", hobbyCount);

console.log("최종 취미 목록:", hobbies);

🤔 조금 더 깊이 생각해보기

기본적인 연습을 마친 후에는 조금 더 깊이 있는 문제들을 통해 push에 대한 이해를 확인해보겠습니다.

Q1. 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를 예상해보세요.

let arr = [1, 2];
let result1 = arr.push(3);
let result2 = arr.push(4, 5);
console.log("result1:", result1);
console.log("result2:", result2);
console.log("arr:", arr);

정답:

  • result1: 3 (3을 추가한 후의 배열 크기)
  • result2: 5 (4, 5를 추가한 후의 배열 크기)
  • arr: [1, 2, 3, 4, 5]

설명: 첫 번째 push로 3이 추가되어 크기가 3이 되고, 두 번째 push로 4와 5가 추가되어 최종 크기가 5가 됩니다. push는 항상 추가 후의 새로운 크기를 돌려줍니다.

Q2. push를 사용해서 간단한 할 일 관리 시스템을 만들어보세요.

정답을 확인해보세요
let todoList = []; // 빈 할 일 목록에서 시작합니다

console.log("📝 할 일 관리 시스템");
console.log("시작: 빈 목록 (할 일 개수: " + todoList.length + "개)");

// 할 일들을 추가해보겠습니다
console.log("\n첫 번째 할 일을 추가하겠습니다:");
let count1 = todoList.push("숙제하기");
console.log("'" + todoList[todoList.length - 1] + "'을 추가했습니다");
console.log("현재 할 일 개수: " + count1 + "개");

console.log("\n두 번째, 세 번째 할 일을 함께 추가하겠습니다:");
let count2 = todoList.push("책 읽기", "운동하기");
console.log("2개 할 일을 추가했습니다");
console.log("현재 할 일 개수: " + count2 + "개");

console.log("\n📋 최종 할 일 목록:");
for(let i = 0; i < todoList.length; i++) {
    console.log((i + 1) + ". " + todoList[i]);
}

설명: push를 활용해서 할 일을 실시간으로 추가하고, 돌려주는 값으로 현재 상태를 확인하며, 최종 결과를 반복문으로 정리해서 보여주는 실용적인 예제입니다.

📚 이전 단원들과 함께 복습하기

7단원까지 공부한 내용들을 다시 떠올려보면서 push와 함께 사용해보겠습니다.

복습 1) 함수와 배열 함께 사용하기 (5-7단원 복습)

// 다음 함수를 완성해서 배열에 새로운 값을 안전하게 추가해보세요
function addToArray(array, newValue) {
    if(newValue !== undefined && newValue !== null) {
        array.push(newValue);
        return true;
    } else {
        console.log("추가할 값이 올바르지 않습니다");
        return false;
    }
}

let testArray = ["사과", "바나나"];
let success = addToArray(testArray, "오렌지");
console.log("추가 성공:", success);  // 이 결과는 무엇일까요?
console.log("배열 상태:", testArray);

정답: "추가 성공: true"와 "배열 상태: ['사과', '바나나', '오렌지']"가 출력됩니다.

설명: 함수에서 조건문으로 값이 올바른지 확인한 후, 올바른 경우에만 push로 배열에 추가하고 성공 여부를 돌려줍니다.

복습 2) 반복문과 조건문 함께 사용하기 (3-4단원 복습)

// for문을 사용해서 짝수만 배열에 추가하는 코드를 만들어보세요
let evenNumbers = [];

for(let i = 1; i <= 10; i++) {
    if(i % 2 === 0) {
        evenNumbers.push(i);
    }
}

console.log("짝수 목록:", evenNumbers);
console.log("짝수 개수:", evenNumbers.length);

정답: "짝수 목록: [2, 4, 6, 8, 10]"과 "짝수 개수: 5"가 출력됩니다.

오늘 우리는 push라는 작은 도구를 통해 배열에 새로운 이야기들을 추가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복잡한 계산 없이도 우리가 원하는 정보들을 차례차례 쌓아올릴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그 과정이 생각보다 자연스럽고 편안하다는 것을 느꼈기를 바랍니다.

마치 일기장에 하루의 이야기를 써내려가는 것처럼, push를 사용해서 우리의 데이터에도 새로운 이야기들을 계속 더해갈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배열에서 정보를 제거하는 방법들에 대해서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오늘 정말 수고했습니다.

✅ 학습 완료 체크리스트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들을 차근차근 확인해보세요.

학습 내용 확인
push의 기본 개념 이해하기
기본 사용법과 문법 익히기
여러 값을 동시에 추가하기
반환값 활용하는 방법
자주 하는 실수들 알아두기

📂 마무리 정보

오늘 배운 7.2.1 내용이 여러분의 마음에 잘 자리 잡았나요? 다음 시간에도 함께 새로운 이야기를 써내려가겠습니다.

기억해둘 점: 오늘 배운 내용을 꼭 직접 써보시고,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 다시 돌아와서 천천히 읽어보세요.


🚀 더 체계적인 JavaScript 학습을 원하신다면?
이 포스팅에서 다룬 내용을 실제로 실습해보세요!
무료 JavaScript 학습 플랫폼에서 단계별 학습과 실시간 코드 실행을 통해
더욱 효과적이고 재미있게 학습하실 수 있습니다.
📝 실시간 코드 실행 📊 학습 진도 관리 👥 체계적 커리큘럼
📚 171개 체계적 학습레슨 · 📋 855개 4지선다 연습문제 · 🆓 완전 무료 · ⚡ 즉시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