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 35

4.1.1 `for`문 -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기

📘 4.1.1 for문 -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기여러분, 안녕하세요. 제가 어릴 때 할머니는 매일 아침 마당에 곡식을 말리셨습니다. 쌀 한 톨 한 톨을 정성스럽게 골라내시는 모습을 보면서, 같은 동작을 수백 번 반복하시는 할머니의 인내와 정확성에 감탄했던 기억이 납니다.프로그래밍에서도 때로는 같은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할머니처럼 그런 인내심을 컴퓨터에게 맡길 수 있는 도구가 있어요. 바로 for문입니다.for문은 마치 성실한 조수처럼, 우리가 지시한 일을 정확한 횟수만큼 묵묵히 수행해줍니다. 실수하지 않고, 지치지 않고, 정해진 만큼만 정확히 반복해주죠.🧠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오늘 만날 개념들을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단어설명for문정해진 횟수만큼 같은 ..

3.2.3 `default` - switch문의 마지막 안전망

📘 3.2.3 default - switch문의 마지막 안전망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조금 특별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해요. 저는 가끔 버스 정류장에서 방향을 잃고 헤매는 사람들을 봅니다. 목적지를 적어놓은 종이를 들고 있지만, 정작 그 버스는 오지 않죠. 그럴 때 정류장 안내원분이 다가와서 "어디로 가세요?"라고 친절하게 물어봅니다. 그리고는 "아, 그럼 이 버스를 타시면 돼요"라고 대안을 제시해주죠.switch문의 default가 바로 그런 존재입니다. 우리가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왔을 때, 조용히 다가와서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친구 같은 존재예요.🧠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오늘 만날 단어들을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단어설명default"기본값"이라는 뜻으로, 모든 case에 해당하지 않을 때 ..

3.2.2 break의 중요성 - 정확한 곳에서 멈추는 스위치

📘 3.2.2 break의 중요성 - 정확한 곳에서 멈추는 스위치어떤 순간에는 멈춤이 더 중요합니다. 마치 정확한 버스 정거장에서 내려야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듯이, 프로그램도 정확한 지점에서 멈춰야 우리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지난 시간에 switch문의 기본 사용법을 배우면서 각 case의 끝에 break라는 키워드를 계속 써주었죠? 혹시 여러분 중에 "이게 꼭 필요한 건가?"라고 생각해본 분들이 있나요? 오늘은 정말 중요한 비밀을 알려드릴 것입니다. break가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break 없이는 어떤 일들이 일어나는지를 함께 알아볼 거예요. break 하나로 프로그램이 완전히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해보세요!🧠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break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

3.2.1 switch 기본 사용법 - 여러 개의 문을 깔끔하게 열어보는 열쇠

📘 3.2.1 switch 기본 사용법 - 여러 개의 문을 깔끔하게 열어보는 열쇠어떤 순간에는 선택이 명확해집니다. 메뉴판 앞에서 "1번을 누르면 콜라, 2번을 누르면 사이다"라고 적혀있을 때처럼, 하나의 값에 따라 정확히 정해진 길로 가야 하는 순간들이 있습니다.지금까지 우리는 if, else, else if로 여러 가지 조건들을 처리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하지만 때로는 하나의 값에 따라서 여러 가지 경우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 있어요. 예를 들어 "1번을 누르면 콜라, 2번을 누르면 사이다, 3번을 누르면 주스"처럼 번호에 따라 다른 일을 해야 할 때 말이에요. 이런 상황에서 switch라는 도구를 사용하면 else if보다 훨씬 깔끔하고 읽기 쉬운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새로운 ..

3.1.3 또 다른 조건 (else if) - 여러 가지 경우를 모두 챙기는 방법

📘 3.1.3 또 다른 조건 (else if) - 여러 가지 경우를 모두 챙기는 방법삶에는 단순히 두 개의 갈래로만 나누어지지 않는 순간들이 있습니다. 학교에서 받는 성적도 그렇고, 계절의 변화도 그렇죠. 마치 강물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 흘러가듯, 우리의 선택도 때로는 여러 방향으로 갈라집니다.지금까지 우리는 if와 else로 두 가지 경우를 처리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하지만 실제 세상에서는 선택지가 두 개만 있는 경우가 드물어요. 성적도 A, B, C, D, F로 나뉘고, 계절도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뉘잖아요. 오늘은 컴퓨터가 여러 가지 경우들을 차례차례 확인해서 딱 맞는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도와주는 else if라는 섬세한 도구를 배워보겠습니다.🧠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else if..

3.1.2 아니라면 (else) - 모든 상황을 빠뜨리지 않는 방법

📘 3.1.2 아니라면 (else) - 모든 상황을 빠뜨리지 않는 방법어떤 사람에게는 선택이라는 것이 때로는 당연하다. 비가 오면 우산을 들고, 해가 뜨면 선글라스를 쓰고. 하지만 컴퓨터에게는 모든 가능성을 미리 알려주어야 한다는 것, 여러분은 아시나요?지난 시간, 우리는 if라는 도구로 컴퓨터에게 "만약에"라는 생각을 가르쳐주었습니다. 그런데 실제 세상에서는 어떤가요? 우리는 늘 "만약에 비가 오면 우산을 가져가고, 그렇지 않다면 가볍게 나선다"고 생각하죠. 오늘은 바로 그 "그렇지 않다면"을 컴퓨터에게 가르쳐주는 else라는 따뜻한 도구를 배워보겠습니다.🧠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else와 관련된 새로운 단어들을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단어뜻else"아니라면", "그렇지 않으면"을 뜻하는 컴퓨터 ..

3.1.1 기본 if 사용하기 - 컴퓨터에게 생각하는 법을 가르쳐주자!

📘 3.1.1 기본 if 사용하기 - 컴퓨터에게 생각하는 법을 가르쳐주자!따스한 오후 햇살이 창문을 통해 스며드는 이 시간, 지금까지 우리는 컴퓨터의 기억 상자(변수)에 여러 가지 소중한 정보를 넣고 빼는 방법을 배워왔습니다. 이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컴퓨터가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게 만드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여러분도 매일 작은 선택들을 하며 살아가고 계시지요? "오늘 비가 오니까 우산을 가져가야겠어", "숙제를 다 했으니까 조금 쉬어도 괜찮을 것 같아" 이런 식으로 말이에요. 오늘 배울 if라는 도구를 사용하면, 컴퓨터도 이런 식으로 상황을 살펴보고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된답니다.🧠 새로운 단어들과 친해지기코딩을 배우다 보면 처음 만나는 단어들이 나오는데, 걱정하지 마세요...

2.6.3 자주 틀리는 형변환 예제 - 함정을 피하는 지혜

📘 2.6.3 자주 틀리는 형변환 예제 - 함정을 피하는 지혜밤이 깊어가는 이 시간, 지금까지 자바스크립트의 상자 변환에 대해 차근차근 배워온 여정을 돌아봅니다. 이론도 익히고 기본적인 사용법도 배웠지만, 실제 코딩을 하다 보면 "어라, 이상하네요?"라고 작은 놀라움을 마주하는 순간들이 종종 찾아와요.이번 시간에는 많은 개발자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상자 변환의 함정들을 함께 살펴보고, 이런 실수를 미리 방지하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마치 구불구불한 산길을 안전하게 걸어가는 방법을 배우는 것 같아요.🧠 새로운 말들과 친해지기상자 변환 함정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주요 말들을 살펴보겠습니다.어려운 말쉬운 설명함정 코드작성자가 원하는 것과 다른 결과가 나오는 코딩 방식을 말해요.NaN (낫어넘버)"숫자가..

2.6.2 암시적 형변환 (자동 변환) - 컴퓨터가 조용히 행하는 현명하지만 때로는 놀라운 자동 바꾸기

📘 2.6.2 암시적 형변환 (자동 변환) - 컴퓨터가 조용히 행하는 현명하지만 때로는 놀라운 자동 바꾸기석양이 창가에 부드럽게 내려앉는 이 저녁, 지난 시간에 배운 명시적 형변환을 떠올려봅니다. 우리가 직접 명령하여 상자의 내용물을 바꾸는 그 과정들 말이에요. 하지만 자바스크립트에는 또 다른 신비로운 기능이 숨어있답니다. 바로 우리가 특별히 부탁하지 않아도 컴퓨터가 조용히 자동으로 상자 종류를 바꿔주는 암시적 형변환이에요.이는 자바스크립트만이 가진 독특하고 아름다운 특징 중 하나입니다. 때로는 우리를 편안하게 해주지만, 때로는 "어라, 이상하네요?"라고 작은 놀라움을 선사하기도 하지요.🧠 새로운 말들과 친해지기오늘 새롭게 만날 말들을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어려운 말쉬운 설명암시적 형변환컴퓨터가 알..

2.6.1 명시적 형변환 (String(), Number()) - 상자 안 내용물을 섬세하게 바꾸는 방법

📘 2.6.1 명시적 형변환 (String(), Number()) - 상자 안 내용물을 섬세하게 바꾸는 방법햇살이 창가에 살며시 내려앉는 이 오후, 여러분이 그동안 정성스럽게 만들어온 데이터 상자들을 떠올려봅니다. 숫자를 품은 상자, 글자를 간직한 상자, 참과 거짓을 담은 상자들까지. 저마다의 이야기를 간직한 이 상자들이 때로는 서로 다른 모습으로 변화해야 할 순간들이 찾아와요.문득 이런 순간이 있지요. "이 숫자 상자에 있는 소중한 내용을 글자 상자로 옮기고 싶어요" 또는 "이 글자 상자 안의 숫자를 진짜 숫자로 바꾸고 싶어요" 하는 마음이 생기는 순간들 말이에요. 이럴 때 우리에게는 상자 변환의 기능 String()과 Number()가 필요하답니다.🧠 새로운 말들과 친해지기오늘 새롭게 만날 말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