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3.1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 - 물건들을 한 번에 정리하는 방법
소중한 여러분과 함께 하는 이 시간, 참으로 뜻깊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정보 상자에서 보물들을 하나씩 꺼내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학생.이름
, 학생.나이
이런 식으로 점 표기법을 사용해서 말이지요.
하지만 이번에는 정말 멋진 새로운 방법을 배울 것입니다. 바로 한 번에 여러 보물들을 각각의 상자에 정리하는 방법입니다. 마치 택배 상자를 열어서 안에 있는 모든 물건들을 한 번에 꺼내서 각각 알맞은 곳에 정리하는 것과 같습니다.
🧠 먼저 용어를 알아볼까요?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용어들을 마음에 담아보겠습니다.
용어 | 의미 |
---|---|
상자 열어서 정리 | 정보 상자를 열어서 각 부분을 따로 담는 편리한 방법 |
정보 카드 나누기 | 정보 상자의 속성들을 각각 별도의 변수로 만드는 방법 |
필요한 것만 꺼내기 | 정보 상자에서 원하는 속성만 골라서 빼내는 것 |
간단하게 쓰기 | 긴 코드를 짧고 깔끔하게 쓸 수 있는 방법 |
중괄호 방법 | {속성, 속성} 형태로 쓰는 특별한 문법 |
이 용어들을 이해하면 정보 상자를 효율적으로 다루는 새로운 방법을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의 핵심 개념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란 하나의 정보 상자에서 여러 속성들을 한 번에 꺼내서 각각 독립적인 변수로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치 택배 상자를 열어서 안에 있는 여러 물건들을 한 번에 꺼내서 각각 알맞은 장소에 정리하는 것과 같지요.
기존 방법으로는 이렇게 해야 했습니다:
let 이름 = 학생.이름;
let 나이 = 학생.나이;
하지만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를 사용하면 이렇게 할 수 있습니다:
let {이름, 나이} = 학생;
한 줄로 같은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코드가 훨씬 간결하고 읽기 쉬워진다는 것입니다. 특히 정보 상자에서 여러 속성을 사용해야 할 때 정말 편리합니다.
따뜻한 이야기: 책상 정리하는 방법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를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책상 정리에 비유해보겠습니다.
여러분이 필통을 받았다고 생각해보세요. 필통 안에는 연필, 지우개, 자, 색연필이 들어있습니다.
일반적인 정리 방법은 이렇습니다:
- 필통을 열고 → 연필을 꺼내서 연필통에 놓고
- 다시 필통에서 지우개를 꺼내서 서랍에 넣고
- 또 필통에서 자를 꺼내서 책상 위에 놓고...
이런 식으로 하나씩 하나씩 꺼내서 정리하는 것이지요.
하지만 새로운 정리 방법은 다르게 일합니다! "연필은 연필통으로, 지우개는 서랍으로, 자는 책상 위로 한 번에 정리하자!"라고 계획을 세우면, 모든 물건들을 동시에 각자의 올바른 장소로 정리할 수 있는 것입니다.
프로그래밍에서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가 바로 이런 효율적인 정리 방법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let {연필, 지우개, 자} = 필통;
한 줄이면 모든 것이 각각의 변수로 정리되는 것이지요.
🎯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를 사용하는 이유
그렇다면 우리는 왜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를 배워야 할까요? 정말 중요한 이유들이 있습니다.
첫째, 코드를 훨씬 간결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여러 속성을 사용할 때 일일이 정보상자.속성
형태로 쓰지 않고, 처음에 한 번만 분해해놓으면 그 다음부터는 간단한 변수 이름만 쓰면 되니까요.
둘째,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같은 정보 상자 이름을 여러 번 타이핑하다 보면 오타가 날 수 있는데, 분해해서 짧은 변수명을 쓰면 그런 실수가 줄어듭니다.
셋째, 코드를 읽기가 쉬워집니다. 다른 사람이 코드를 봤을 때도 "아, 이 함수에서는 학생 정보 상자의 이름과 나이를 주로 사용하는구나"라는 것을 금방 알 수 있습니다.
넷째, 현대적인 자바스크립트 코딩 스타일입니다. 요즘 프로그래머들은 모두 이런 방식으로 코드를 작성해서, 미리 익혀두면 나중에 다른 코드를 읽을 때도 도움이 됩니다.
⚙️ 기본 문법 살펴보기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의 기본적인 사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정리하기 문법:
let {속성이름1, 속성이름2} = 정보상자;
구체적인 예시:
let student = {name: "철수", age: 12, grade: 6};
let {name, age} = student;
// 이제 name 변수에는 "철수", age 변수에는 12가 들어있습니다
일부 속성만 정리하기:
let {name} = student; // 이름만 가져오기
let {age, grade} = student; // 나이와 학년만 가져오기
모든 속성 정리하기:
let {name, age, grade} = student; // 모든 속성을 각각의 변수로
🧪 실습으로 익혀보기
강물이 자연스럽게 흘러가듯이, 이제 실제 예제를 통해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실습 1: 기본 정리하기 방법 익히기 - 친구 정보 간단하게 사용하기
단순함 속에 진정한 지혜가 숨어 있습니다. 첫 번째 실습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 우리 반 친구 정보가 담긴 정보 상자
let friend = {
name: "지우",
age: 11,
hobby: "독서",
favoriteColor: "파랑"
};
console.log("친구 소개 준비!");
console.log("전체 친구 정보:", friend);
// 기존 방법: 하나씩 변수 만들기 (번거로움)
console.log("=== 기존 방법 ===");
let friendName = friend.name;
let friendAge = friend.age;
let friendHobby = friend.hobby;
console.log("이름:", friendName);
console.log("나이:", friendAge);
console.log("취미:", friendHobby);
// 새로운 방법: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 (간단함!)
console.log("=== 한 번에 정리하기 방법 ===");
let {name, age, hobby} = friend; // 한 줄로 3개 변수 만들기!
console.log("이름:", name);
console.log("나이:", age);
console.log("취미:", hobby);
// 정리된 변수들로 문장 만들기
console.log(name + "는 " + age + "살이고, " + hobby + "를 좋아해요!");
이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먼저 친구 정보 정보 상자를 만듭니다. 그 다음 기존 방법으로 하나씩 변수를 만들어 보고,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 방법으로 같은 일을 한 줄에 처리합니다.
두 방법의 결과가 똑같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리된 변수들은 일반 변수처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실습 2: 필요한 것만 골라서 정리하기 - 책 정보에서 중요한 것만
진정으로 필요한 것만을 택하는 것도 하나의 지혜입니다. 두 번째 실습에서는 정보 상자의 모든 속성이 아닌, 필요한 속성만 선택해서 정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도서관 책 정보 - 정말 많은 속성들이 있습니다
let book = {
title: "어린왕자",
author: "생텍쥐페리",
pages: 150,
price: 12000,
publisher: "문학출판사",
publishYear: 1943,
isbn: "978-123456789",
category: "소설"
};
console.log("도서관 책 정보 관리:");
console.log("전체 책 정보:", book);
// 상황 1: 책 소개를 위해 제목과 저자만 필요
console.log("=== 책 소개용 정보 ===");
let {title, author} = book;
console.log("책 소개: " + title + " (저자: " + author + ")");
// 상황 2: 구매 결정을 위해 가격 정보만 필요
console.log("=== 구매 결정용 정보 ===");
let {price} = book;
console.log("이 책의 가격은 " + price + "원입니다.");
if (price <= 15000) {
console.log("합리적인 가격이네요! 구매 추천!");
} else {
console.log("조금 비싸네요. 다시 생각해볼까요?");
}
// 상황 3: 도서관 관리를 위해 여러 정보 필요
console.log("=== 도서관 관리용 정보 ===");
let {title: bookTitle, pages, category} = book;
console.log("관리 정보:");
console.log("- 제목: " + bookTitle);
console.log("- 페이지: " + pages + "페이지");
console.log("- 분류: " + category);
이 실습을 통해 우리는 상황에 따라 필요한 속성만 골라서 정리할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모든 속성을 다 정리할 필요는 없고, 그 순간에 필요한 것들만 선택적으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 실습 3: 함수에서 정리하기 활용하기 - 동물 소개 자동화
반복되는 일 속에서도 조화와 아름다움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실습에서는 함수와 함께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우리 동네 애완동물들 정보
let pet1 = {name: "뽀삐", type: "강아지", age: 3, isHealthy: true};
let pet2 = {name: "나비", type: "고양이", age: 2, isHealthy: true};
let pet3 = {name: "짹짹", type: "앵무새", age: 1, isHealthy: false};
// 애완동물 소개 함수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 활용)
function introducePet(petInfo) {
console.log("🐾 애완동물 소개 시간!");
// 함수 안에서 필요한 정보만 한 번에 정리하기
let {name, type, age, isHealthy} = petInfo;
console.log("이름: " + name);
console.log("종류: " + type);
console.log("나이: " + age + "살");
// 정리된 변수로 조건 확인하기
if (isHealthy) {
console.log(name + "는 건강한 " + type + "예요! 😊");
} else {
console.log(name + "는 아픈 " + type + "예요. 빨리 병원에 가야겠어요. 😢");
}
// 나이에 따른 메시지
if (age >= 3) {
console.log("꽤 나이가 있는 " + type + "네요!");
} else {
console.log("아직 어린 " + type + "예요!");
}
console.log("--- 소개 끝 ---");
}
// 여러 애완동물들을 차례대로 소개하기
console.log("우리 동네 애완동물 소개 대회!");
introducePet(pet1);
introducePet(pet2);
introducePet(pet3);
// 새로운 애완동물 추가해서 소개하기
let newPet = {name: "금붕어", type: "물고기", age: 1, isHealthy: true};
console.log("새로운 친구가 왔어요!");
introducePet(newPet);
이 실습은 함수 안에서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를 활용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함수가 정보 상자를 받으면 필요한 속성들을 바로 정리해서 변수로 만들고, 그 변수들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함수 코드가 훨씬 읽기 쉬워지고 관리하기도 편해집니다.
🔄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 사용 과정 정리
지금까지 학습한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 사용 과정을 자연스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첫 번째 단계는 정리 계획 세우기입니다. 정보 상자에서 어떤 속성들이 필요한지, 어떤 변수 이름으로 만들지 미리 생각해보세요.
두 번째는 정리하기 문법 작성 단계입니다. let {속성1, 속성2} = 정보상자
형태로 중괄호를 사용해서 정리할 속성들을 나열합니다.
세 번째는 변수 활용 단계입니다. 정리가 완료되면 각 속성이 독립적인 변수가 되어서, 정보상자.속성
대신 짧은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코드 개선 단계입니다. 기존에 점 표기법을 여러 번 사용하던 부분을 정리된 변수들로 바꿔서 코드를 더 깔끔하게 만들어보세요.
🧚♀️ 이야기로 다시 배우기: 학용품 정리함의 비밀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따뜻한 이야기로 다시 정리해보겠습니다.
우리 학교에는 학용품 정리함이라는 특별한 정리함이 있었습니다. 이 정리함 안에는 여러 가지 학용품들이 들어있었지요: 연필, 지우개, 자, 색연필, 노트 등등.
예전에는 1학년 친구들이 이 정리함을 사용할 때 정말 번거로웠습니다. 연필이 필요하면 "학용품정리함에서 연필을 꺼내자", 지우개가 필요하면 "학용품정리함에서 지우개를 꺼내자" 이런 식으로 하나씩 하나씩 꺼내야 했거든요.
하지만 6학년 형, 누나들은 특별한 정리 방법을 알고 있었습니다!
"정리 계획: 연필은 연필통으로, 지우개는 서랍으로, 자는 책상 위로!"
이 계획을 세우면 신기하게도 정리함 안의 모든 도구들이 동시에 각각의 올바른 장소로 정리되는 것이었습니다!
1학년 친구들은 처음에는 이 방법이 어려워 보였습니다. 하지만 한 번 익히고 나니까 정말 편리했지요. 특히 여러 도구를 함께 사용해야 하는 복잡한 숙제를 할 때는, 처음에 정리 계획으로 모든 도구를 준비해놓고 시작하면 훨씬 효율적이었습니다.
우리가 배운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도 이런 효율적인 정리 방법과 똑같습니다!
let {연필, 지우개, 자} = 학용품정리함;
한 줄이면 모든 것이 정리되는 것이지요.
🧠 자주 하는 실수와 주의할 점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를 사용할 때 자주 하는 실수들을 미리 알아두면 더 안전한 코딩을 할 수 있습니다.
❌ 실수 1: 중괄호 빼먹기
// 자동차 정보 정보 상자
let car = {
brand: "현대",
model: "소나타",
color: "흰색"
};
// ❌ 틀린 방법: 중괄호 없이 시도
// let brand, model = car; // 문법 오류! 이렇게 하면 안됩니다
// ✅ 올바른 방법: 중괄호 사용
let {brand, model} = car;
console.log("브랜드:", brand);
console.log("모델:", model);
// 색깔도 나중에 필요하면 추가로 정리 가능
let {color} = car;
console.log("색깔:", color);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에서는 반드시 중괄호 {}
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중괄호가 "이것은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야!"라고 컴퓨터에게 알려주는 신호거든요.
❌ 실수 2: 존재하지 않는 속성 정리하려고 하기
// 우리 반 친구 정보 (일부 정보만 있음)
let classmate = {
name: "철수",
grade: 6
// 나이 정보는 없습니다!
};
// ❌ 주의할 점: 없는 속성도 정리하려고 시도
let {name, age, grade} = classmate; // age 속성이 실제로는 없습니다!
console.log("이름:", name); // "철수" (정상)
console.log("나이:", age); // undefined (속성이 없어서 undefined)
console.log("학년:", grade); // 6 (정상)
// ✅ 안전한 방법: 실제 있는 속성만 정리
let {name: studentName, grade: studentGrade} = classmate;
console.log("학생 이름:", studentName);
console.log("학생 학년:", studentGrade);
// 나이가 필요하면 다른 방법으로 처리
if (classmate.age !== undefined) {
console.log("나이:", classmate.age);
} else {
console.log("나이 정보가 없습니다.");
}
존재하지 않는 속성을 정리하려고 하면 undefined
가 나옵니다. 에러는 아니지만, 나중에 그 변수를 사용할 때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 실수 3: 이미 선언된 변수 이름과 충돌
// 이미 선언된 변수가 있는 상황
let name = "기존 이름";
let student = {name: "새로운 이름", subject: "수학"};
// ❌ 문제 상황: 같은 이름의 변수가 이미 있음
// let {name, subject} = student; // 에러! name 변수가 이미 선언되어 있습니다
// ✅ 해결 방법 1: 기존 변수 값 바꾸기
name = student.name;
let {subject} = student;
console.log("이름:", name);
console.log("과목:", subject);
// ✅ 해결 방법 2: 다른 변수 이름 사용 (별칭)
let {name: studentName, subject: favoriteSubject} = student;
console.log("학생 이름:", studentName);
console.log("좋아하는 과목:", favoriteSubject);
이미 선언된 변수와 같은 이름으로 정리하려고 하면 충돌이 일어납니다. 이럴 때는 별칭을 사용하거나 기존 변수의 값을 바꾸는 방법을 사용하세요.
✏️ 연습문제로 실력 기르기
참된 배움은 반복하는 연습 속에서 몸에 배는 것입니다. 이제 배운 내용을 연습문제를 통해 차근차근 익혀보겠습니다.
Ex1) 과일 정보에서 이름과 색깔만 한 번에 정리해보자
자연의 선물인 과일들도 저마다의 특성이 있습니다. 과일 정보에서 필요한 부분만 정리해보겠습니다.
// 맛있는 과일 정보
let fruit = {
name: "사과",
color: "빨강",
taste: "달콤",
origin: "대한민국"
};
// 이름과 색깔만 중괄호로 한 번에 정리해보세요
let {name, color} = fruit;
console.log("과일 이름:", name);
console.log("과일 색깔:", color);
Ex2) 게임 캐릭터에서 필요한 정보만 가져와보자
가상의 세계에서도 체계적인 정리가 필요합니다. 게임 캐릭터의 핵심 정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 게임 캐릭터 정보
let character = {
name: "용사",
level: 10,
weapon: "마법검",
health: 100,
magic: 50
};
// 이름과 레벨만 중괄호로 한 번에 정리해보세요
let {name, level} = character;
console.log("캐릭터:", name);
console.log("레벨:", level);
Ex3) 음식점 메뉴로 소개 문구를 만들어보자
맛있는 음식도 좋은 소개가 있어야 더욱 빛납니다. 메뉴 정보를 활용해보겠습니다.
// 음식점 메뉴 정보
let menuItem = {
name: "불고기정식",
price: 12000,
category: "한식",
isSpicy: false
};
// 필요한 정보를 한 번에 정리해서 메뉴 소개하기
let {name, price} = menuItem;
console.log("오늘의 추천 메뉴: " + name);
console.log("가격: " + price + "원");
🤔 심화 문제로 실력 확인하기
기본 연습을 마쳤다면, 이제 조금 더 깊이 있는 문제들을 통해 이해도를 확인해보겠습니다.
Q1. 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를 예상해보세요
let book = {title: "해리포터", pages: 300};
let {title, author} = book;
console.log(title);
console.log(author);
정답:
- "해리포터"
- undefined
해설: title
은 book 정보 상자에 있어서 "해리포터"가 나오지만, author
는 book 정보 상자에 없는 속성이라서 undefined
가 나옵니다.
Q2. 다음 중 올바른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 문법은?
let person = {name: "철수", age: 12};
// A) let name, age = person;
// B) let {name, age} = person;
// C) let [name, age] = person;
// D) let (name, age) = person;
정답: B) let {name, age} = person;
해설: 정보 상자를 한 번에 정리할 때는 반드시 중괄호 {}
를 사용해야 합니다. 대괄호 []
는 목록을 한 번에 정리할 때 사용하는 문법입니다.
📝 7단원 복습 문제 - 배열을 잊지 말아요!
8단원을 배우는 여러분이 7단원 내용을 잊지 않도록 복습 문제를 준비했습니다.
복습 문제 1: 과일 배열에서 첫 번째와 마지막 과일 찾기
// 과일 목록 배열
let fruits = ["사과", "바나나", "오렌지", "포도", "딸기"];
// 첫 번째 과일과 마지막 과일을 변수에 저장해보세요
let firstFruit = fruits[0];
let lastFruit = fruits[fruits.length - 1];
console.log("첫 번째 과일:", firstFruit);
console.log("마지막 과일:", lastFruit);
console.log("전체 과일 수:", fruits.length);
해설: 배열에서 첫 번째 요소는 인덱스 0으로, 마지막 요소는 배열.length - 1
인덱스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배열의 길이를 구할 때는 .length
속성을 사용합니다.
복습 문제 2: 숫자 배열에 새로운 숫자 추가하고 제거하기
// 숫자 목록 배열
let numbers = [10, 20, 30];
console.log("초기 배열:", numbers);
// 뒤에 숫자 추가하기
numbers.push(40);
console.log("push 후:", numbers);
// 앞에 숫자 추가하기
numbers.unshift(5);
console.log("unshift 후:", numbers);
// 마지막 숫자 제거하기
let removed = numbers.pop();
console.log("제거된 숫자:", removed);
console.log("pop 후:", numbers);
해설: 배열 조작 메서드들을 기억하세요! push()
는 뒤에 추가, unshift()
는 앞에 추가, pop()
은 뒤에서 제거, shift()
는 앞에서 제거합니다.
지금까지 정보 상자 한 번에 정리하기를 차근차근 배워보았습니다. 이제 여러분도 효율적으로 정보 상자를 다룰 수 있게 되었습니다.
✅ 학습 완료 체크리스트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들을 모두 이해했는지 확인해보세요.
학습 내용 | 이해했나요? |
---|---|
8.3.1의 기본 개념 | ✅ |
기본 사용법과 문법 | ✅ |
주요 특징과 차이점 | ✅ |
자주 하는 실수들 | ✅ |
실전 예제 이해 | ✅ |
7단원 배열 복습 | ✅ |
🎯 추가 연습 문제들
조금 더 연습하고 싶은 분들을 위한 추가 문제들입니다.
추가 문제 1. 과일 정보에서 이름과 색깔을 분해해보세요.
let fruit = {name: "사과", color: "빨강", taste: "달콤"};
let {name, color} = fruit;
console.log("과일:", name);
console.log("색깔:", color);
추가 문제 2. 게임 캐릭터에서 이름과 레벨만 가져와보세요.
let character = {
name: "용사",
level: 10,
weapon: "검",
health: 100
};
let {name, level} = character;
console.log("캐릭터:", name);
console.log("레벨:", level);
추가 문제 3. 음식 정보를 분해해서 메뉴 소개를 만들어보세요.
let food = {name: "피자", price: 15000, category: "이탈리안"};
let {name, price} = food;
console.log("메뉴: " + name);
console.log("가격: " + price + "원");
추가 문제 4. 다음 중 올바른 구조 분해 문법은?
let person = {name: "철수", age: 12};
// A) let name, age = person;
// B) let {name, age} = person;
// C) let [name, age] = person;
// D) let (name, age) = person;
답: B) let {name, age} = person;
설명: 객체 분해는 중괄호 {}를 사용해야 합니다.
🔄 단계별 진행 과정 정리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단계별로 다시 한번 정리해보겠습니다.
1단계 과정:
1) 기본 객체 생성 → 2) 기존 방법으로 속성을 변수에 저장 → 3) 구조 분해로 같은 작업을 한 줄로 처리 → 4) 두 방법의 결과 비교 → 5) 구조 분해의 간편함 확인
2단계 과정:
1) 여러 속성을 가진 객체 생성 → 2) 필요한 속성들만 선택해서 분해 → 3) 분해된 변수들을 조합해서 활용 → 4) 다른 속성이 필요할 때 추가로 분해 → 5) 선택적 분해의 유연성 확인
3단계 과정:
1) 여러 사람 객체 생성 → 2) 함수에서 객체를 매개변수로 받기 → 3) 함수 내부에서 필요한 속성만 분해 → 4) 분해된 변수로 메시지 생성 → 5) 여러 객체에 같은 함수 적용
📂 마무리 정보
오늘 배운 8.3.1
내용이 여러분의 자바스크립트 지식 상자에 잘 저장되었나요? 다음 시간에는 더 재미있는 내용으로 만나겠습니다.
기억할 점: 오늘 배운 내용을 꼭 연습해보시고,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 다시 돌아와서 읽어보세요.
무료 JavaScript 학습 플랫폼에서 단계별 학습과 실시간 코드 실행을 통해
더욱 효과적이고 재미있게 학습하실 수 있습니다.
'8. 정보 꾸러미 만들기 (객체) > 8.3 구조 분해 할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8.3.3 예비값과 별명 사용하기 - 안전한 선물 받기와 예쁜 이름 짓기 (0) | 2025.07.11 |
---|---|
8.3.2 목록 한 번에 정리하기 - 줄 서 있는 친구들 순서대로 부르기 (0) | 2025.07.11 |